![]() |
△ 시진핑 체제가 처벌한 대표적 부패 공직자들인 저우융캉 전 정치국 상무위원(무기징역, 왼쪽), 보시라이 전 충칭시 당서기(무기징역, 왼쪽 두번째), 쉬차이허우 전 중앙군사위 부주석(사망, 왼쪽 세번째), 링지화 전 통일전선공작부장. '부패 신4인방'인 이들 대부분은 재판과정에서 여성들과 부적절한 관계를 가진 사실이 들통났다. 특히 저우융캉, 링지화의 혐의에는 다수 여성들과의 간통 혐의가 포함됐다. |
中부패관료 절반이 '간통'…'권력-성거래' 실태 재확인
중국공산당, 상반기에만 '비위당원' 1만9천명 처벌
(베이징=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부정부패 혐의로 처벌받은 중국의 당·정 간부 2명 중 1명은 '간통' 혐의도 적용받은 것으로 드러나 중국 공직사회에 만연한 '권력-성(性) 거래' 실태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중국 공산당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는 23일 당의 사정·감찰 총괄기구인 중앙기율검사위원회 그동안 발표해온 '(공직자 수사) 통지문'을 분석, 부패 관료 2명 중 1명이 간통 혐의도 적용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당 중앙기율위는 일반적으로 부정부패 혐의가 있는 고위급 당정 간부들에 대한 조사 착수와 종료 사실 등을 홈페이지에 공개해오고 있다.
인민일보는 "중앙기율위가 당원의 '간통혐의'를 (본격적으로) 공개하기 시작한 건 지난해 6월 5일부터"라며 "이후 조사 사실이 공개된 (당·정 관료) 45명 중 25명(55.6%)이 간통 혐의까지 적용받았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그러나 이번 분석 결과는 결국 '모든 부패 관료가 정부(情婦)를 두고 있다'는 세간의 추측이 크게 잘못된 것임을 보여준다는 다소 엉뚱한 주장을 전개해 누리꾼으로의 빈축을 샀다.
한 누리꾼은 "'모든 부패 관료가 정부를 두고 있다'는 말의 뜻도 제대로 이해 못하다니, 아둔하기 짝이 없다"고 비판했고, 또 다른 누리꾼은 "이렇게 추악한 결과에 대해서까지 변호하는 것은 낯이 두꺼운 것"이라고 질타했다.
한편,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는 이날 당 중앙기율검사위 공개 자료를 인용, 올해 상반기에만 당원 1만 9천 명이 청렴 규정인 '8항 규정' 위반으로 처벌받았다고 전했다.
1천616명(11.6%)이 공금으로 밥을 먹었다가 징계를 받았고, 1천599명(11.5%)이 선물을 받은 혐의로 처벌됐다.
또 경조사를 호화롭게 치른 당원이 2천75명(14.9%), 불법적으로 각종 수당·보너스를 지급했다가 적발된 당원이 2천376명(17%), 관용차 남용 혐의를 적용받은 당원이 4천260명(30.6%) 등으로 분석됐다.
172명(1.2%)은 호화 나이트클럽 출입에 출입했다가, 884명(6.4%)은 공금으로 국내·국외여행을 다녀왔다가 각종 징계를 받았다.
당 중앙기율위는 "전체 1만 9천 명 중 1만 7천 명이 하위급 공무원으로 파악됐다. 장관급 고위 관료는 두 명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차이나데일리는 "(시진핑(習近平) 체제가 시작된) 2012년 말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청렴 규정 위반으로 처벌된 당원은 12만 명에 이른다"며 다만 올해 상반기에 적발된 비위 당원은 지난해 7만 1천 명과 비교해 크게 줄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