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일 관계개선 분위기에 '환영' '경계' 엇갈려(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22 19:58:01
  • -
  • +
  • 인쇄
한반도 전문가 "정상적 국가관계는 회복·발전시켜야"
일부 관영매체 "美, 역사문제 무시하고 또 '화해강제'"
△ 박 대통령,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 참석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오후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주한 일본대사관 주최로 열린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15.6.22 uwg806@yna.co.kr (끝)

중국, 한일 관계개선 분위기에 '환영' '경계' 엇갈려(종합)

한반도 전문가 "정상적 국가관계는 회복·발전시켜야"

일부 관영매체 "美, 역사문제 무시하고 또 '화해강제'"



(베이징=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과거사와 영토문제로 평행선을 달려온 한일 양국이 국교정상화 50주년을 계기로 관계개선 모드에 돌입한 데 대해 중국 내에서는 환영과 경계 반응이 교차했다.

중국의 한반도 전문가 중 한 명인 주펑(朱鋒) 난징(南京)대학 교수는 22일 오후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한일 관계 개선은 "매우 좋은 일"이라며 "만약 한일 관계가 계속 긴장관계에 있다면 중·일·한 3국의 발전과 협력, 전체 동북아의 평화 안정도 성립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는 군 위안부 문제 등 역사문제에 대해 굳은 원칙을 견지하고 있고 중국도 아베 총리의 역사수정주의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며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정상적 국가관계는 당연히 회복시키고 발전시켜야한다"고 덧붙였다.





주 교수는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된다 해도 역사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는데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는 "나도 동의한다. 일본의 역사문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식은 매우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며 그럼에도 정상적인 관계 발전은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대답했다.

한일 당국의 이번 행보에 대한 중국당국의 반응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그는 중국도 한일관계 개선을 환영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반면, 중국의 대표적 관영매체인 신화통신은 한일 양국의 이번 움직임을 '소극적 접근'으로 풀이하며 개선보다는 추가적인 관계악화를 억제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분석했다.

신화통신은 이날 '일본과 한국의 소극적 접근은 역사적 현안을 풀기 어렵다'는 기사에서 "일, 한이 국교정상화 50주년을 계기로 외교적 마찰과 정체를 바꾸기 위한 돌파구를 찾고 있지만, (군)위안부 문제로 대표되는 역사현안은 해결 방향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일본언론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양국의 관계개선 기류는 박근혜 대통령이 외교적 고립을 탈피하라는 국내 여론과 미국 압력 속에서 지난 5월 한일관계에 대한 '투트랙 정책'(역사·영토문제-경제·안보문제 분리)을 전개하면서 시작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앞으로 한일 정상회담이 실현된다 해도 역사마찰, 영토분쟁, 국민감정 악화, 동북아시아의 전략적 위치 등에 관한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난제로 남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무엇보다 '미국에 의한 강제 화해'의 문제점을 부각했다.

신화통신은 '전문가'를 인용, 미국의 냉전전략 아래 체결된 '한일기본조약' 등은 일본의 식민통치와 전쟁책임 문제를 회피하고 역사문제의 화근을 심었다며 미국은 오늘날에도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따라 양국의 역사문제 등을 무시하고 화해를 강제하고 있어 "아마도 같은 후환이 무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중앙(CC)TV 역시 이날 한일 정상이 국교정상화 50주년을 기념하는 상대 측 행사에 교차 참석했다는 소식 등을 주요소식으로 전하며 양국이 서로에 대해 '선의'를 표출했지만 역사문제에서는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CCTV는 이날 서울에서 열린 반일시위 장면도 비중 있게 다뤘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