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짝퉁·불량품과 전쟁' 재돌입…알리바바 등도 겨냥
(서울=연합뉴스) 홍덕화 기자 = 중국의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가 '짝퉁' 퇴출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중국 당국도 대대적인 위조품 단속에 나선다.
중국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공상총국·SAIC)은 4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성명을 내고 작년 대대적인 단속에도 모조·불량품이 기승을 부려 유통질서를 어지럽히는데다 브랜드 업체 등의 진정이 이어져 재단속에 착수하게 됐다고 밝혔다.
공상총국은 작년 133만개 웹사이트를 검색하는 등 대대적인 단속 끝에 3만6천여개 상품을 온라인에서 내리고 웹사이트 2천201개를 폐쇄했다. 당시 거둬들인 벌금과 압수 금액은 1억1천300만 위안(약 202억원)에 달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작전명 '붉은 방패와 네트워크 검(紅盾網劍)' 아래 7∼11월 벌이는 이번 단속의 특징은 지난해와 달리 알리바바 등 온라인판매 플랫폼 운영사들을 직접 겨냥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성명서는 이번 단속에서 모조 상품 외에 판매 플랫폼 운영사들의 불법 행위 여부도 적발하는 등 감시 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언뜻 통상적인 정부 발표 내용으로 보이고 알리바바 등 플랫폼 운영사 이름도 적시하지 않았지만, 잘 뜯어보면 지난해와 올해 성명서의 단속 대상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작년 성명에는 "플랫폼 운영자들도 당국의 불량·모조품 단속과 적발 과정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하지만, 이번 성명서는 "각 지역 공상총국은 플랫폼 운영자들에 대해 감독·감시 활동을 강화, 필요할 경우 사법권을 엄중하게 집행해야 한다"고 되어 있는 등 온도차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공상총국은 올 1월 알리바바가 적극적으로 위조품 적발을 하지 않고 문제 품목의 퇴출 노력도 미흡하며 뇌물 수수와 불법 행위 등을 해결하지 않고 있다고 이례적으로 비판했다.
공상총국은 그러나 알리바바측이 이를 '공정성 결여' 등으로 반박하고 나서자 문제의 성명서를 홈페이지에서 내려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 바 있다.
알리바바측은 수일 전 인터넷 쇼핑몰 티몰(天猫)과 타오바오(淘寶)상의 '문제 소지가 있는 (짝퉁) 제품 목록' 제거와 위조품 퇴출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알리바바 대변인은 플랫폼 운영자들에 대한 감시활동 강화 방침에 대해 "당국이 고객과 업자 모두에게 더 나은 거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규정과 행정조치도 환영한다"고 말하고 "지속 가능하고 건전한 전자상거래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