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통일전선업무도 '직할체제'로…권력집중 가속
중앙통일전선공작회의 첫 주재…'인터넷 정화' 강화 지시
(베이징=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최고지도자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1인 권력체제를 강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이번에는 통일전선 분야까지도 직접 챙기고 나섰다.
21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지난 18∼20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앙통일전선공작회의'에 참석, "통일전선 공작(사업)은 반드시 규율, 원칙을 지키고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며 "가장 근본적인 것은 당의 영도를 견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일치성과 다양성의 관계를 정확하게 처리하고, 반드시 공통사상과 정치적 기초를 끊임없이 단단하게 만들어야 한다"며 "동시에 민주를 일으켜 세우고 차이를 존중·포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당이 새로운 경제·사회조직에 속한 지식인과의 왕래를 통해 학습할 것을 강조하는 한편 인터넷 언론 등 신매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인사들에 대한 사업도 강화해 이들이 인터넷 공간을 정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중국의 정치체제에서 통일전선 업무는 민족 간 갈등, 종교문제 등을 조정하는 일을 뜻한다. 중국과 홍콩, 대만과의 관계도 넓게는 이 범주에 포함된다.
중국의 사회계층이 다원화되면서 다른 단체나 민족, 계급 간 연합을 강화하는 업무의 중요성이 계속 커지면서 통일전선공작부 등 관련 기관의 권한은 지속적으로 강화돼왔다.
신경보(新京報)는 65년 간 '전국통일전선공작회의'라는 명칭으로 열려온 이 회의가 '중앙통일전선공작회의'라는 이름으로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전했다.
주리자(竹立家) 국가행정학원 교수는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시진핑 체제 들어 통일전선공작회의, 정법공작회의 등에 '중앙'이라는 표현이 붙기 시작했다며 "이는 당의 영도적 지위와 집권 지위를 공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시 주석은 지난해 1월에도 '전국정법공작회의'라는 명칭으로 연말·연초에 연례적으로 개최돼온 전국 단위 정법위 회의를 '중앙정법공작회의'라는 이름으로 개최한 바 있다.
이 회의에 당 총서기가 참석해 연설한 것은 1997년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 참석한 이후 17년 만의 일이다.
신화통신은 이날 2012년 말 열린 18차 당대회 이후 다당 협력과 관련된 중앙 차원의 좌담회가 총 57차례 열렸고 그 중 11번을 시 주석이 주재했다며 그가 통일전선 업무도 사실상 직접 관리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시 주석은 취임 후 중앙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 중앙국가안전위원회 등 거대 권력기관을 신설해 직접 지휘하고 있으며 기존의 당 권력기구들도 '직할체제'로 전환하며 독주체제를 빠르게 강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