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농민공 고령화 심각…"50세 이상이 4천600만명"
사회보장체계서 소외…관영CCTV "엄중한 상태" 경고
(베이징=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중국의 '초고속 성장시대'를 이끈 주역이면서도 오늘날 중국사회의 빈곤계층으로 남아있는 농민공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영 중국중앙(CC)TV는 노동절인 1일 밤 방영한 특집 프로그램에서 국가통계국의 '2014년 전국 농민공 모니터링 조사'를 인용, 전국 2억 7천300만 명의 농민공 중 50세 이상이 17%(4천600만 명)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40대 농민공도 전체의 26%(7천만 명)에 달해 40대 이상의 농민공은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1억 2천여만 명으로 집계됐다.
50세 이상의 농민공 비율은 2009년 12.2%(2천803만 명), 2012년 15.1%(3천969만 명), 2013년 15.2%(4천만 명) 등으로 빠르게 증가했다.
반면, 중국의 제도권 교육이 확대되면서 40세 이하의 농민공 비율은 지속적으로준 것으로 나타났다.
CCTV는 고령의 농민공이 여전히 도시를 떠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농촌보다는 도시에서 더욱 많은 수입을 얻을 수 있고 마땅한 노후대책도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아들과 함께 상하이(上海)에서 일하는 농민공 왕스하오(王思浩)는 이미 50세가 넘었지만 특별한 기술이 없어 여전히 벽돌, 시멘트를 나르는 노동을 하고 있다.
CCTV는 "건설 노동현장을 채우는 농민공은 왕 씨같은 50세 이상의 고령 농민공"이라며 "이들은 (노동현장에서) 쫓겨날까봐 가짜 신분증을 만들거나 이발소에서 염색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들은 계약서 하나 쓰지 않고 일하는 경우가 많아 작업 중 다쳐도 치료비조차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이들은 고정된 직장이 없고 스스로 노후 등을 대비한 보험료 납부 등에 소극적이다보니 사실상 양로보험(우리 국민연금 격) 등 각종 사회제도에서 소외돼 있는 상황이다.
CCTV는 "농민공의 양로보험, 사회보장 문제는 엄중한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지난해 7월 농민공 문제와 관련, "그들을 '2등 국민'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며 '동일노동 동일임금' 보장, 보건의료 등 각종 사회적 보장체계 개선, 농민공 자녀에 대한 의무교육 강화 등을 약속했지만 아직까지 큰 변화는 감지되지 않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