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유전자변형 농작물 기술 보급 정책 공식화
'중앙 1호 문건'에 "기술 보급 강화" 첫 적시…안전성 논란도 본격화될 듯
(베이징=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전 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GM) 식품의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중국이 올해부터 유전자변형 농산물 생산 기술을 널리 보급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유전자 변형 농작물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는 지지, 보급은 신중' 입장을 유지해온 중국이 '기술 보급' 정책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경보(新京報)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이 최근 발표한 '1호 문건'인 '개혁 창조·혁신을 강화하고 농업 현대화 건설을 가속하는 것에 관한 일부 의견'에 "농업 유전자변형 기술에 대한 연구, 안전관리, 과학 보급(기술 보급)을 강화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고 4일 보도했다.
'1호 문건'은 중국 당국이 매년 연초 발표하는 첫 정책문건이다.
이 신문은 또 "중국정부는 최근 9년 동안 '1호 문건'에서 유전자 변형 기술에 관한 내용을 6차례 언급했지만 '기술 보급'을 이 문건에 삽입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라며 대중에게 유전자 변형 기술의 장점을 알리고 유전자 변형 작물을 연구개발하는 작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중앙농촌공작영도소조 판공실 한쥔(韓俊)은 전날 열린 기자회견에서 "작년에 중국이 외국에서 수입한 7천100만t의 콩 대부분이 유전자변형 작물"이라며 "농업발전이 갈수록 환경 자원의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 중국의 유전자변형 농산물 기술 연구가 뒤져서는 안 된다. 유전자변형 작물시장을 외국상품이 점령하게 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또 "현재 우리는 이미 국제적인 유전자변형 작물 기술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시스템, 기술규칙 시스템, 정부의 행정관리체계를 구축했다"며 "이는 유전자변형에 관한 연구, 실험, 생산, 가공, 수출허가에서 상품표식 등에 관한 부분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3년 기준으로 중국의 유전자변형 작물 재배 면적은 420만 헥타르(ha)로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인도, 캐나다에 이어 6위 수준이다.
그러나 중국 내에서는 식품안전문제가 자주 예민한 사회적 이슈로 등장해왔던 만큼, 중국당국의 본격적인 유전자변형 작물 확대 정책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012년 후베이성 헝양(衡陽)에서는 유전자 변형을 통해 베타카로틴 성분을 강화한 이른바 '황금미' 효과를 알아보려 어린이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파문이 일기도 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