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 이산가족 명단 교환 '기회' 잡아야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8-16 17:27:08
  • -
  • +
  • 인쇄

[ 부자동네타임즈]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 도발에도 박근혜 대통령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북한과의 대화를 강조하고 나섰다. 북한의 도발에 대한 국민정서를 고려했을 때 쉽지 않았을 것이다. 박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70주년 경축사에서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민생향상과 경제발전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며 대화의 끈을 놓지 않았다. 문 대표는 16일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공식-비공식, 정부-민간을 따지지 말고 북한과 적극적으로 접촉하고 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열하다고 할 수밖에 없는 도발 방법과 이후 '자작극'이라며 오히려 남한을 비난하고 나선 뻔뻔한 행태를 고려하면 마주하고 싶지 않은 상대이지만 그럼에도 그 끈을 놓지 않고 대화를 강조하는 것은 그것이 최선의 해법이기 때문일 것이다.



박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북한의 지뢰 도발이 "광복 70주년을 기리는 겨례의 염원을 짓밟았다"면서 국민의 안위를 위협하는 도발에는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는 의지를 분명하게 재확인했다. 그러나 곧바로 남북 간 대립과 갈등의 골이 깊었던 1972년에 남북공동성명을 끌어낸 점을 언급하면서 "지금도 북한에게는 기회가 주어져 있다"고 강조했다. 대북 경고메시지는 간결했던 반면 북한이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개별 사안에 대한 언급은 상대적으로 길었다. 올해가 광복 70년이자 분단 70년을 맞는 해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획기적인 대북메시지가 나오지 않겠느냐는 기대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지뢰도발이 그런 기대를 물거품으로 만들고 우리 정부의 입지를 좁게 만들었다고 하겠다. 박 대통령의 경축사에 당초 기대했던 것과 같은 특별한 내용이 담기지는 않았지만 대북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이산가족 명단 교환 제안까지 포함한 것은 현재의 남북 긴장상황을 고려할 때 의미가 작다고 할 수는 없다.



새정치연합 문 대표도 기자회견에서 '경제통일'을 차기 집권비전으로 제시하면서 "북한의 지뢰도발 사건은 용납이 안 되고 단호히 대응해야 하지만, 서로 상충하면서 위기로 치닫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대화를 강조했다. 6자회담 재개를 위한 2+2 회담, 5·24조치 해제 요구 등 여권과 시각차를 드러내기도 했으나 "남북관계를 잘 풀려면 남남통합이 돼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과거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무장공비가 청와대에 들어왔지만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7·4 남북공동성명을 발표했고, 전두환 정부, 노태우 정부 때도 엄청난 도발이 이어졌지만 북한과 꾸준히 대화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북한은 박 대통령과 제1야당의 대표가 자신들의 도발에도 대화를 강조하고 나선 것에 대해 약한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오판해서는 안 된다. 이런 대화의 전제에 도발에 대한 단호한 응징이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대화에 대한 우리 측의 진정성을 확인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북한은 지뢰도발을 남한의 자작극이라고 부인하고, 인민군 전선사령부 명의의 '공개경고장'을 통해 우리 군이 재개한 대북 확성기 방송에 대해 "중단하지 않으면 무차별 타격하겠다"고 위협했다. 우리 군에는 "적이 도발한다면 더욱 강력하고 단호하게 응징하라"는 최윤희 합참의장의 지시가 재차 내려진 상태다. 말 그대로 일촉즉발의 상황이다. 북한은 추가 도발로 사태를 되돌릴 수 없는 상황으로 악화하지 말고 박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제시한 '기회'를 잡아야 한다. 인도적인 문제부터 풀어나가는 차원에서 남북이산가족 명단 교환을 시작하는 게 지금으로선 긴장을 완화하는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통일부가 일을 서둘러 내달 중순까지는 이산가족 6만여명의 현황을 파악해 전달하는 계획을 추진한다고 하니 이 기회를 잡기 바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