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정치연합, 혁신안 성패에 명운 걸어야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7-13 17:50:44
  • -
  • +
  • 인쇄

[ 부자동네타임즈] 새정치민주연합이 13일 당무위원회를 열어 혁신위원회가 내놓은 혁신안과 관련된 당헌·당규 개정안을 가결해 중앙위원회로 넘겼다. 사무총장제 폐지를 비롯한 4건의 당헌 개정안은 격론 끝에 표결로 통과시키고, 권리당원 선거권 부여 기준 강화 등 당규 개정안 6건은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하지만 당내에서 계파 간에 진짜 논란이 된 일부 핵심 혁신안은 이날 처리된 당헌·당규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며 9월 당무위에 상정될 예정이다. 당 혁신의 첫발을 뗐지만 '반쪽' 혁신안만 1차 관문을 통과한 셈이다. 그나마 비주류 진영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최종결정권을 가진 중앙위원회의 20일 의결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고 한다.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이어진다면 새정치연합이 당내 갈등을 극복하고 혁신안을 오롯이 수용해 당 쇄신에 성공할 수 있을지 의문이 더 앞선다.



이번 혁신안은 새정치연합이 4·29 재보선 전패 뒤 내홍에 빠진 당을 수습하기 위해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에게 전권을 주고 혁신위원회를 맡겨 만들었다. 두 달 가까운 작업 끝에 나온 혁신안에는 최고위원회와 사무총장직 폐지,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 신설, 당대표를 포함한 당직자에 대한 당원 소환제 도입 등 파격적 내용이 담겨 있다. 기존 쇄신안에 포함됐던 내용도 많아 '베끼기 혁신안'이라는 지적도 있었지만 실천만 담보된다면 당의 체질을 바꿀 수 있는 방안들로 평가됐다. 당무위에 상정되지 않은 핵심 혁신안 중에서 최고위원직 폐지는 계파갈등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됐으나 그 시기를 내년 4월 총선 직후로 잡은 것을 놓고 계파 간 갈등이 이어지는 것은 물론 최고위원 간에도 이견이 나오고 있다. 또 '현역의원 물갈이'의 1차 작업을 하게 될 선출직 공직자평가위 신설안도 당 대표의 권한만 강화한 것이라는 논란에 휩싸였다. 평가위원장을 당 대표가 임명하는 데 대한 반발이 일자 "최고위의 의결을 거쳐 당대표가 임명한다"로 수정했지만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혁신안 중에서 논란과 갈등의 소지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는 것들이다. 세부안이 마련되지 않아 애초 9월 당무위에 상정할 계획이었다는 새정치연합 측의 해명을 받아들이더라도 앞으로 혁신안을 둘러싼 계파 간 갈등과 논란이 더 심해질 것은 자명해 보인다.



새정치연합은 당무위의 혁신안 처리를 앞두고 곳곳에서 파열음을 냈다. 전날 밤 열린 당 지도부와 혁신위원회 연석회의는 혁신안의 내용을 놓고 "친노계파 패권 해소위가 됐어야 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고성이 오가는 등 어수선하고 격앙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고 한다. 당무위 직전에 열린 이날 아침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최고위원 간에 험구도 오갔다. 당이 어수선한 상황에서 혁신 작업이 제대로 안 되면 탈당하겠다는 심중을 직간접적으로 밝힌 의원들이 다수다. 고위 당직자를 포함해 100명 가까이가 이미 지난주 집단 탈당하고 일부 현역의원들도 기회를 보는 형국이다.



새정치연합이 혁신안을 성사시키지 못하면 당 리더십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밖에 없으며 분당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이날 라디오에 출연해 "혁신위가 성공을 하면 작은 신당이 창당되고, 혁신위가 실패하면 상당히 큰 분당 사태가 오지 않을까 염려한다"고 예상했다. 새정치연합이 쪼개지면 내년 4월 총선에서 야권이 손에 쥘 성적표는 너무도 뻔하다. 야당이 지리멸렬하는 것은 우리 정치의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해법은 문제인 대표가 이미 제시한 것 같다. "우리의 시각이 아니라 국민의 시각으로 봐야 한다. 눈앞의 현실과 이해관계가 아니라 당과 국가, 총·대선 결과를 내다봐야 한다". 문제는 문 대표를 비롯해 당 기득권층이 이를 얼마나 실천하느냐에 달린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