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임 정무수석, 당청관계 복원이 제1 임무다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7-10 18:13:06
  • -
  • +
  • 인쇄

[부자동네타임즈] 박근혜 대통령이 신임 정무수석 비서관에 친박(친박근혜)계인 현기환 전 새누리당 의원을 임명했다. 조윤선 전 정무수석이 공무원연금개혁안 처리 무산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뒤 54일 만이다.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유승민 전 원내대표 사퇴 이후 정무수석을 임명한 것은 당·청관계 정상화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표출한 것으로 해석된다. 현 신임 수석도 당·청관계가 잘 풀릴 수 있게 하는데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와 유 전 원내대표 진퇴를 둘러싸고 벌어진 청와대와 여당, 여당 내 친박과 비박(비박근혜)계 간 갈등과 싸움은 여권에 회복하기 쉽지 않은 상처를 남겼다. 국민에게 큰 실망감을 안긴 만큼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이번 내분이 남긴 교훈이라도 잊지 말아야 한다. 청와대에서 그 역할을 담당할 실무책임자가 정무수석이다. 현 수석은 당·청 갈등의 재발을 막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부터 판단해야 한다.



당장 풀어야 할 과제가 한 두 가지가 아니다. 현 정부 임기가 절반 이상 남은 상태에서 당·청관계에 이번 같은 갈등이 또 온다면 여권은 공멸할 수밖에 없다. 이런 절박한 문제의식이 새로운 출발점이 돼야 한다. 현 수석은 무엇보다 청와대와 여당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대통령과 여당 지도부가 서로 오해를 쌓지 않도록 소통의 전도사 역할을 해야 한다. 국회법 개정안 처리 과정에서 곳곳에서 드러난 불통의 징후들이 재현돼선 안 된다.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 필요하다면 대통령에게 고언(苦言)을 마다치 않겠다는 각오를 다져야 한다.



새누리당은 14일 새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당 사무총장 등의 인선도 조만간 있을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되면 여당의 체제 정비도 끝난다.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협력을 복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일만 남게 된다. 유례없던 갈등과 내분을 겪었던 여권의 상황 수습 노력은 한층 더 속도를 내어야 한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부와 야당 간의 갈등과 대립 소지도 커지고 있다. 현 수석이 여당 못지않게 야당과의 소통채널 강화에도 주력해야 하는 이유다. 다행히 노동계 출신인 현 수석은 야당 의원들과도 폭넓은 친분관계를 맺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정무적 감각과 친화력, 폭넓은 인적네트워크를 보유해 정치권과의 소통 등 대통령을 정무적으로 원활하게 보좌할 적임자"라고 현 수석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 그에 걸맞은 신임 정무수석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