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방역대책 '빈틈' 막는데 사력 다해야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6-08 16:59:24
  • -
  • +
  • 인쇄

[ 부자동네타임즈]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급속히 늘면서 고삐가 잡히지 않고 있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메르스 확진자는 8일 23명이 추가돼 모두 87명이 됐다. 메르스 발병이래 가장 많이 증가했다. 1차 진원지인 평택성모병원에서는 단 1명의 환자도 발생하지 않아 '종식'이 선언된 반면 2차 유행의 진원지가 된 삼성서울병원에서는 17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이 중에는 지금까지 없던 10대 청소년 환자 1명도 포함돼 있다. 메르스 환자는 지난주까지 하루 7명을 넘지 않았으나 삼성서울병원발 환자가 본격적으로 나오면서 7일부터 두자릿수에 진입해 이틀째 2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보건당국은 메르스 확산이 이날 중 절정을 맞고 안정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국회 긴급현안질문에 출석해 "조심스럽게 예측하지만 오늘이 가장 피크라고 생각한다"면서 "바라건대 내일이나 모레부터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메르스대책본부의 권덕철 총괄반장도 "오늘 이후 삼성서울병원에서의 감염환자 발생 추세는 감소세로 돌아설 것 같다"고 예측했다. 만에 하나 당국의 '절정' 예측이 맞지 않고 환자가 계속 늘어난다면 증가세가 이미 두자릿수로 불어난 터라 상황은 걷잡을 수 없는 국면으로 빠져들 수 있다. 보건당국의 예측이 희망 섞인 전망이 아니라 정확한 자료와 철저한 방역조치에 근거한 것이길 바란다.



당국이 확진 환자가 발생했거나 경유한 병원 명단을 공개하고 자택격리자에 대해서는 1대1 책임관리체제를 구축하는 등 보완 대책을 내놓은 뒤 메르스 방역이 눈에 띄게 체계를 갖춰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방역 구멍이 아직 곳곳에서 노출돼 보건당국의 '절정' 예측을 곧이듣기에는 불안한 구석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날 확진 판정을 받은 76번째 환자(75·여)는 삼성서울병원에서 14번째 감염자에게 노출됐지만 추적 관찰대상에서 빠졌고 이후 강동경희대병원과 건국대병원 응급실을 오가다 뒤늦게 격리됐다. 또 대전 대청병원에 입원해 능동 감시대상자로 분류됐던 A(57·여)씨는 보건소가 자가격리 대상자로 재분류한 사실을 모르고 울릉도를 여행하다 휴대전화 위치 추적을 통해 소재를 파악한 경찰에 의해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해프닝에 그쳤지만 새누리당 유의동 의원 사례도 눈여겨 볼만하다. 유 의원은 지역구 안에 있는 평택성모병원을 방문한 뒤 보건복지부 콜센터(129)로 자진신고를 하려고 수십차례 전화를 했지만 연결이 안 돼 결국 복지부 관계자에게 직접 문의해 능동감시 대상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이틀 뒤 보건소에서 자가 격리대상자라는 전화를 받았고, 이날 국회에 나와 "저는 자가격리 대상자이냐, 능동감시 대상자이냐"고 문 장관에게 따져 묻기도 했다. 유 의원은 나중에 "(다시) 보건소에 문의해 능동감시 대상자라는 확인을 받았다"고 해명했다. 유 의원의 말이 맞다면 당국의 대상자 분류가 갈팡질팡한 것이고, 그렇지 않고 자가격리 대상자인데도 국회 질의에 나섰다면 보건당국이 말한 1대1 책임관리체제마저 구멍이 난 셈이다. 이런 사례들이 모두 방역대책의 빈틈을 보여주는 것 같아 걱정스럽기만 하다.



메르스는 이제 국가자산을 총동원하고 국민이 모두 경계심을 갖고 대처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렇지만 지나친 공포심은 금물이다. 메르스 그 자체보다 이에 대한 공포로 초래되는 상황이 훨씬 더 심각하기 때문이다. 사우디의 메르스 권위자인 타리크 아흐메드 마다니 킹압둘아지즈대 교수는 지역사회 감염은 제한적이며 대부분의 감염은 병원이나 환자 가정 내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지금까지 감염이 병원 내에 국한돼 온 것과 일치한다. 치사율도 당초 알려진 40%는 기저질환이 있을 때이고 일반적으로는 8% 수준이라고 한다. 지금부터는 국민 개개인의 대처도 중요하다. 병원에 다녀온 뒤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면 나라도 주변 사람을 더 감염시키지 않겠다는 시민의식을 발휘해야 한다. 무턱대고 병원을 찾아갈 것이 아니라 메르스 콜센터로 전화를 하고 자택에서 대기해 달라는 당국의 지침을 따라야 한다. 정부가 방역대책을 좀더 철저히 집행하고 국민도 시민의식을 발휘한다면 메르스는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