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자동네타임즈]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8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야당이 황 후보자 자료제출 부실을 이유로 인사청문회 연기를 요청하고, 보이콧 가능성까지 제기하고 있어 정상진행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그러나 이번 청문회가 갖는 의미나 중요성을 감안하면 청문회는 예정대로 진행되는 것이 맞다. 황 후보자의 변호사 시절 수임 내역 중 상세내용이 삭제된 19건 관련 자료를 법조윤리협의회가 제출하는 문제는 원만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후보자 검증에 꼭 필요하다면 황 후보자가 자발적으로 제출하는 방법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박근혜 정부 임기가 올여름 반환점을 앞둔 상태에서 이번 총리 인준 여부가 갖는 정치적 의미는 적지 않다. 현 정부 출범 당시 법무장관 후보자로서 청문회를 거쳤지만 황 후보자는 이번에 총리로서의 비전과 자질을 분명히 보여주고 자신에 대해 제기되는 의혹도 명확히 해명해야 한다.
이번 청문회에서는 황 후보자의 병역면제 관련 의혹이 우선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황 후보자는 두드러기 질환인 만성담마진으로 병역면제를 받았다. 야당은 만성담마진으로 지난 10년간 병역 면제를 받은 사람은 365만명 가운데 4명에 불과하다면서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야당은 또 황 후보자가 만성담마진 최종 판정을 받기 전에 병역이 면제됐다는 의혹을 최근 제기하기도 했다.
황 후보자가 검찰을 떠난 뒤 전관예우를 받은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왔다. 부산고검 검사장 퇴임 뒤 법무법인 고문 변호사로 재직하면서 1년여간 부산고검의 하위기관인 부산지검 사건을 최소 6건 맡은 것은 꼼수라는 지적을 야당은 하고 있다. 정의당 박원석 의원은 황 후보자가 2012년 국내 정수기업체 회장의 횡령 사건을 맡고도 변호인 선임계를 제출하지 않았다면서 '전화변론'의 전형이라고 주장했다. '전화변론'은 사건 수임 흔적이 남지 않아 탈세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황 후보자가 2013년 2월 법무장관 후보로 지명된 이후 닷새 동안 법무법인에서 더 근무하며 1억1천여만원을 급여와 상여금으로 추가로 받았다는 사실을 둘러싼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황 후보자의 역사관 및 종교적 편향성 논란, 법무장관 시절 국정원 댓글사건 등 정치사건 대처 논란도 쟁점이 될 전망이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으로 국민 불안이 높아진 상태에서 총리 공백 사태가 길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총리는 대통령을 보좌해서 내각을 통할하는 국정의 2인자다. 특히 이번에 황 후보자가 임명되면 박근혜 정부 후반기 상당기간 총리를 맡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검증 절차가 허술히 진행되어선 안 된다. 새누리당은 법무장관을 역임하며 총리로서 자질은 확인됐다면서 청문회에서 야당의 근거 없는 공세에 적극적으로 맞서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황 후보자를 '공안총리'라고 규정한 새정치민주연합은 황 후보자가 왜 총리로서 부적격한지를 증명하겠다고 칼날을 갈고 있다. 메르스 위기 상황에서 황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본질과는 벗어난 정치공방의 장이 되어서도, 그렇다고 메르스 위기 사태에 묻어 어물쩍 지나가서도 안 될 일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