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메르스 방역, `정보공개' 득실 다시 봐야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6-04 14:38:52
  • -
  • +
  • 인쇄

[ 부자동네타임즈]정부가 국민안전처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범정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대책지원본부'를 4일 구성했다. 국민안전처와 교육부, 외교부, 국방부, 행정자치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경찰청 등이 뭉친 기구다. 지원본부는 국민안전처 중앙 재난상황실에 설치됐다. 보건복지부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 메르스 관리대책본부'는 메르스 감염경로 파악, 치료, 격리조치 등을 총괄하고 범정부 대책지원본부는 이를 지원하는 것으로 역할 분담이 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메르스 대응 민관합동 긴급점검회의를 주재한 지 하루 만에 이뤄진 조치다. 박 대통령이 긴급점검회의에서 "여러 문제점들에 대해 어떻게 확실하게 대처방안을 마련할지 이런 것을 정부가 밝혀야 한다"고 언급한 데 따른 후속 조치일 것이다. 범정부 대책지원본부는 각 부처에서 파견한 직원으로 실무반을 편성해 운영하는 한편, 수시로 관계부처 국장급 회의을 연다고 하니 이제부터라도 체계적인 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싶다.



메르스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4일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전체 환자 수는 전날보다 5명 늘어난 35명이 됐다. 이 중에는 3차 감염자도 2명이 포함돼 전체 3차 감염자 수도 5명으로 증가했다. 보건 당국이 집계한 격리자 숫자는 1천667명으로 크게 늘어난 상태다. 또 군에서도 메르스 감염 의심 환자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국군수도병원과 국군대전병원에 격리된 인원이 20여명이고, 자택과 생활관 등지에 격리조치를 받은 부대원도 60명이라고 국방부가 발표했다. 이런 내용을 종합해 보면 아직 메르스는 기세가 등등한 상황으로 봐야 할 것이다. 자칫 피로도가 높아져 경계심이 풀어질 수도 있는 시점이어서 걱정이 되기도 한다. 상황이 매우 엄중하기 때문에 한층 고삐를 조여야 한다는 말이다.



이번 메르스 확산 사태의 대처 과정에서 드러난 가장 큰 문제는 초기 방역 실패였다. 또 병원 내 감염의 연장 선상이어서 그나마 다행스러운 측면은 있으나 3차 감염이 일어난 것은 뼈아프다. 하지만 지금도 늦지는 않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전파라는 최악의 상황을 막으려면 `병원 내 감염'에 머문 현 시점에서 가장 역점을 둘 것은 '병원 간 감염 방지'라고 입을 모은다. 그렇다면 가장 긴요한 조치가 무엇인지에 대한 결단이 내려져야 한다고 본다. 보건당국은 메르스 감염환자들이 거쳐 간 병원의 숫자가 14곳이라는 점만 공표했을뿐 병원 이름과 지역은 밝히지 않고 있다. 다른 환자와 병원 종사자, 지역사회에 공포와 혼란을 조장할 우려가 크다는 게 미공개의 이유다. 하지만 우리보다 먼저 메르스 홍역을 앓은 영국의 전문가들은 투명한 정보공개와 외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입장이라고 한다. 병원이 공개되면 격리에 유리하고 방역도 철저해지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는 국내 의료전문가들도 있다. 정보공개가 지금 시점에 효과적인 방역체계의 한 방편으로 작동한다면 결정을 머뭇거릴 까닭이 없을 것이다. `병원 간 감염'을 막기 위해서 바이러스의 확산 경로를 파악하는 일을 보건당국만 해야 하고 국민의 협조는 필요 없는지 의문을 갖는 사람들이 많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