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자동네타임즈]) 5·18 민주화운동 35주년 기념식이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개최됐다. 국가보훈처가 주관한 민주묘지 행사에는 국무총리 대행과 보훈처장 등 정부 관계자와 국회의장, 여·야 대표, 국회의원 등이 참석했다. 하지만 공식 기념식에는 5·18 유가족과 지역 시민단체, 지역 정치인들은 눈에 띄지 않았다. 이들은 같은 시간 옛 전남도청 앞 민주평화광장에서 별도의 행사를 치렀다고 한다. 공식행사와 유가족이 치르는 행사가 별도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빚어진 일이다. 벌써 3년째다. 공식 행사와 유가족 행사가 이렇게 나눠져 진행되는 상황을 얼마나 더 봐야 하는지 안타까운 심정이다.
5·18 기념 행사가 이렇게 나눠져 진행되는 것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문제 때문이다. 이 노래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이 정부 기념일로 제정된 1997년 이후 2008년까지 기념식에서 제창 방식으로 불렸다. 하지만 보수정권인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2008년 기념식에서 제창 방식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2009년부터는 `함께 부르는' 제창이 `듣기만 하는' 합창으로 바뀌게 됐다. 보훈처는 이 노래가 1991년 북한에서 제작된 5·18 영화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됐기 때문에 제창할 경우 국민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다. 이후 유가족 등의 반발로 논란이 지속되다가 2013년부터는 행사가 쪼개지고 말았다. 이 과정에서 국회는 여야 합의로 2013년 6월 이 노래의 기념곡 지정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올해 기념식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끝까지 따라 불렀다고 한다. 정의화 국회의장을 비롯한 국회의원, 당직자도 함께했다. 정부를 대표한 국무총리 직무대행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박승춘 보훈처장은 일어서기는 했으나 노래를 부르지는 않았다. 최 부총리는 "5·18은 민주화운동의 이정표를 세우고 국가발전의 새 원동력이 됐다"는 기념사를 했다. 같은 기념식에서도 정치권은 제창, 정부대표는 합창으로 갈린 셈이다.
앞서 행사전날인 17일 5·18 전야제에 참석하려 했던 김 대표는 일부 시민이 임을 위한 행진곡 기념곡 지정 무산에 항의하고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 폐기를 주장하는 등 소란을 일으키자 30여분만에 자리를 떠야 했다. 김 대표는 물세례까지 받았다. 이런 불미스런 일이 대다수 광주시민의 뜻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노래 제창이 이런 사달의 원인으로 들먹여졌다는 점은 별도로 봐야 한다. 논란 자체가 일과성으로 지나갈 것이냐 아니냐도 짚어봐야 한다.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지속성 있는 해답을 갖고 풀어낼지가 관건이다. 정권의 향배와 관계없이 오랫동안 이어질 `모양 좋은 기념식'을 만들려면 어떤 조치가 필요할지 숙고해야 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