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자동네타임즈] 정부가 22일 세월호 선체를 인양하기로 결정하고 사실상 인양 관련 절차에 들어갔다. 국론 분열과 소모적 논쟁의 수렁에서 벗어날 돌파구를 찾은 것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제 세월호를 최대한 안전하고 신속하게 끌어올리는 데 국가 차원의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다. 세월호 인양은 세월호특별법 시행령 폐기와 함께 세월호 희생자·실종자 가족과 세월호 관련 단체들이 줄기차게 요구해온 사안이다. 정부 결정은 실종자 9명의 수습을 위해 선체를 통째로 인양해달라는 가족들의 요구와 여론을 수용한 결과다. 해양수산부로부터 세월호 선체 처리 기술 검토 최종 보고서와 인양 결정 요청서를 받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심의를 거쳐 인양 결정을 공식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인양방식과 인양과정의 위험·불확실성, 소요비용과 예산확보 대책, 전문가 및 실종자 가족 여론까지 충분히 검토해 내린 결정이라고 했다. 세월호특별법 시행령과 관련해서도 유기준 해수부 장관이 이틀 전 특별조사위원회에해수부 공무원을 파견하지 않고 유가족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는 쪽으로 수정하겠다고 한 만큼 특조위의 조속한 출범도 가능해 보인다.
중대본의 결정에 따라 해수부는 인양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인양업체 선정에 곧 착수하게 된다. 세부 인양설계와 준비작업을 병행해 가능하면 9월부터는 현장 작업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최종 인양까지는 적지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 단독으로 인양할 기술력을 가진 업체가 없어 국내외 업체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체를 선정하고 나면 세부 인양설계와 준비작업에 3개월 정도가 걸린다. 잠수사들이 선체에 구멍을 뚫어 와이어를 연결하는 수중작업에 또 6개월 이상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모든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해도 세월호를 물 위로 끌어올리는 것은 빨라야 내년 하반기가 될 전망이다. 예측 불가능한 기상여건과 잠수활동이 어려운 동절기 등 작업을 방해하는 요인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 맹골수도 처럼 유속이 빠른 해역에서 세월호 크기의 여객선을 통째로 인양한 사례는 세계적으로도 없다고 한다. 해수부 산하 민관 합동 세월호 선체처리 기술검토 태스크포스가 최근 내놓은연구결과도 다르지 않다.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세월호 인양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렸지만 "위험과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길이 145.6m, 폭 22m에 과도하게 실은 화물과 물 무게까지 더해 1만t이 넘는 선체를 바닷속에서 들어올리는 고난도 작업에는 실패 가능성과 위험이 따르기 마련이다.
중대본부장인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도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과잉 기대를 경계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1년인 지난 16일 선체 인양을 약속한 뒤 정부의 후속 조치가 속도를 내기 시작했지만 기술력과 안전성 문제 등을 이유로 인양에 회의적인 견해도 없지 않았다. 정부가 세월호를 인양하기로 최종 결정한 이상 기술상 실수를 최소화하고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 철저한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세월호 인양은 모든 과정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고 예상 소요 비용도 최대 2천억원에 이를 만큼 전례가 없는 도전이다. 혹여 실패시 돌아올 역풍을 의식한 무리한 작업으로 단 한명이라도 희생자가 나오는 일이 없도록 안전에 만전을 기해주길 당부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