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폭력으로 얼룩진 세월호 추모행사 유감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4-20 12:25:04
  • -
  • +
  • 인쇄

[부자동네타임즈] 세월호 참사 1년에 즈음해 서울 도심 곳곳에서 열린 추모행사는 경건한 추모와 애도라는 본래 취지를 훼손하고 지켜보는 국민을 깊은 절망으로 몰아넣었다. 온 국민이 1년 전의 참사를 반성하고 희생자들을 차분하게 추모해야 할 행사가 과격시위와 충돌로 난장판이 됐다. 한동안 볼 수 없었던 경찰의 차벽과 물대포가 등장하고, 이에 맞서 경찰버스를 부수고 '정권 퇴진' 구호를 외치는 시위대의 극한 대결은 누가 원인 제공을 했느냐를 따지기 앞서 추모 행사의 본질을 망각한 부끄러운 장면이다. 한 청년이 태극기를 불태우는 퍼포먼스를 하는 모습에서는 행사의 본질과 성격까지 의심하게 만들었다. 주말 도심 광장을 마비시킨 전형적인 폭력시위와 강경대응은 내연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갈등과 반목을 고스란히 드러냈다.같은 날 유럽 주요 도시들에서 열린 세월호 추모 집회 참가자들이 침묵시위와 문화공연 등으로 숙연하게 슬픔을 나누는 모습과 너무도 대조적이었다.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 과정에서 유가족과 시민 9명이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고, 경찰관과 의경 74명이 부상했다고 한다. 수 십대의 경찰 차량이 부서졌고 경찰 장비 수백점이 빼앗기거나 파손됐다. 경찰은 현장에서 100여명을 연행했으며 이 가운데80여명은 유족이 아닌 외부단체 소속이나 일반인이라고 밝혔다.추모행사가 전문 시위꾼 등 외부세력의 개입으로 폭력 투쟁화했다는 증거라고 경찰은 보고있다. 이번 집회를 주최한 4·16 가족협의회와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는 지난해 6월 전국 600여개 시민단체들이 망라돼 발족한 기구다. 이들 단체는 "경찰이 차벽을 6겹으로 설치해 도로를 먼저 차단하고 시민의 통행권을 막았다"며 경찰의 차벽 설치가 위헌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경찰이 행사 전부터 차벽 설치를 예고하는 등 시위대를 자극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나온다. 전 국민적 추모 분위기를 고려해 불법성을 엄단한다는 강경일변도 자세보다는 행사를 평화적으로 유도하려는 노력이 앞섰어야 하는게 아니냐는 얘기다. 반면 경찰의 강경대응 입장도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 당장 오는 24일 서울광장에서 민주노총 서민살리기 총파업 결의대회에 2만명이 참가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25일에는 1만5천명이 참가하는 공적연금 강화를 위한 대동 한마당이 역시 서울 광장에서 열린다. 노동절인 5월 1일에는 18년 만의 동시 총파업을 예고한 양대 노총이 서울광장과 문화마당에서 각각 노동자 대회를 연다고 예고한 상태다. 경찰은 법과 원칙에 따라 불법행위에 대응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지만 걱정과 긴장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세월호 추모행사가 폭력사태로 치달은 것은 어떤 명분으로도 합리화할 수 없다. 추모행사와 폭력시위는 엄연히 구별돼야 한다. 폭력 충돌은 유족들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세월호 희생자 추모 분위기를 틈 타 유가족들의 슬픔을 정치투쟁으로 끌어들이려는 의도는 반드시 차단해야 한다.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6일 중남미 순방에 나서기 앞서 세월호 선체 인양을 공개적으로 약속했고, 세월호특별법 시행령에 대해서도 원만한 해결을 지시한 만큼 대화와 타협으로 해결하는 게 수순일 것이다.세월호 가족들의 아픔을 치유하려는 노력에는 시한이 있을 수 없지만 미해결 쟁점들은 한시라도 빨리 해결해야 한다. 시간을 끌면 끌수록 유족들의 아픔을 정치적으로 악용할 소지가 커진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