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자동네타임즈] 정권 핵심부의 금품수수 의혹을 제기한 '성완종 리스트'에 대한 수사를 맡은 검찰 특별수사팀이 가동에 들어간 지 1주일이 지났다. 특별수사팀은 그동안 경남기업을 포함해 관련자 11명의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했고 확보한 자료를 분석해 핵심관계자 소환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이밖에 아직 이렇다 할 수사 진척이 있다는 소식은 없다. 검찰로서는 원칙과 절차대로 단계를 밟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일각에서는 수사 속도가 느린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검찰 수사팀 관계자는 지난 17일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수사 속도를 보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고 한다. 그러고는 '귀인(貴人)의 도움'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결정적 제보자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했다. 한마디로 수사의 돌파구가 될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나 증언이 아직 확보되지 않았다는 상황설명으로 들린다. 수사가 벌써부터 답보 상태에 놓인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드는 게 사실이다. 특별수사팀은 첫 압수수색에서 다이어리·수첩류 34개, 휴대전화 21대, 디지털 증거 53개 품목, 회계전표 등 관련 파일 257개를 확보했으며 하이패스, 내비게이션 등도 압수했다. 검찰은 방대한 압수물 분석을 통해 이완구 국무총리와 홍준표 경남지사에게 금품을 건넸다는 시점을 중심으로 성 전 회장의 동선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검찰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첫 번째 수사 대상을 골라 본격 수사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수사가 일종의 기초조사 단계였다고 한다면 핵심 관련자를 불러들이는 소환조사는 본 게임에 해당할 것이다. 현재 거론되는 1차 소환 대상은 성 전 회장의 측근인사 7명이 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중에는 홍준표 경남지사에게 1억원을 준 배달자라고 주장한 인물과 경남기업의 수상한 돈 흐름을 꿴 인물도 있다. 소환조사를 통해 수사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싶다.
정치인에 대한 금품 제공의 진실 여부를 가리는 수사는 태생적으로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물증을 확보하기 어려울뿐더러 관련자의 증언에 기댈 수밖에 없어 사건의 실체를 가리기 쉽지 않다. 따라서 정확하고 엄밀하게 수사가 진행돼야 하고 조그마한 빈틈도 허용되지 않는다는 자세가 요구된다. 그러나 정확성 못지않게 속도감도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수사의 속도감이 너무 떨어지면 '의혹 해소'라는 수사의 목표가 순조롭게 달성되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오히려 예기치 않은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 사건 수사와 관련해서는 이미 대통령도 "의혹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길이라면 어떠한 조치라도 검토할 용의가 있다"면서 특검 도입 가능성을 언급한 상태다. 검찰 내부에서도 사건 수사 초기부터 특검 도입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수사가 방향설정에 고전하면서 속도감마저 살리지 못한다면 특검 불가피론은 더욱 강하게 고개를 들 것이 자명하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