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日 역사왜곡 언제까지 두고 볼 건가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4-10 15:29:16
  • -
  • +
  • 인쇄





[부자동네타임즈]  일본의 역사 왜곡이 도를 넘어도 한참 넘었다. 한일 과거사 전쟁도 불사하겠다는 기세다. 36년 동안 저지른 우리 국권 유린에 대한 사과와 반성은커녕 틈만 나면 독도 영유권 주장을 되풀이 하고 있다. 지난 7일 발표된 일본 외교청서나 하루 앞서 검정 승인된 중학교 교과서 대부분에도 독도가 일본 고유 영토라는 주장이 실렸다. 최근에는 반인류적 인권유린 사례인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신매매' 운운하며 모욕하더니 강제 노역에 끌려간 한국인의 한이 서려 있는 시설들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겠다고 나섰다. 그뿐인가. 일본 문화청 홈페이지 한국 문화재 시대 표기에는 '임나(任那)'라는 표현이 버젓이 등장한다. 4~6세기 일본 야마토 정권이 한반도 남부에 임나일본부를 설치해 지배했다는 허구 주장이다. 최근 검정된 일본 중학교 교과서에도 임나일본부 관련 내용이 기술됐다고 한다. 임나일본부설은 이미 2010년 한일 역사학자들이 사실이 아니라며 용어 자체도 쓰지 않기로 합의함으로써 폐기된 주장이다. 이쯤 되면 일본 정치 지도자들이나 우익 학자들에게 올바른 역사 인식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이웃 나라의 역사를 존중하고 국민감정을 최소한이라도 배려하겠다는 생각은 아예 없는 것 같다.



일본의 역사 왜곡 시도는 사실 어제오늘 얘기도 아니다. 문부과학성의 역사교과서 검정 심의 결과나 외무성의 외교청서 발표 때마다 한일관계를 뿌리째 흔드는 악재로 돌출했다. 지금도 상당수 일본 청소년들이 임진왜란 당시 조선 침략은 '출병'이며, 일본의 식민지 정책이 한국 근대화에 기여했다고 배우는 게 현실이다. 독도와 관련해서는 1905년 일본이 영토로 편입조치해 국제법적 권한을 갖고 있는데도 한국이 1952년 '이승만 라인' 선포이후 불법 점유하고 있다는 식의 역사 세뇌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도 강제 연행했다는 증거가 없다는 일본 정부 주장대로 교육받고 있다. 일본의 역사 왜곡 도발은 아베 신조 총리의 이달 말 미국 국빈 방문을 앞두고 더욱 노골화하는 양상이다. 일본은 적극적인 대외 홍보를 위해 외교청서 전문(全文) 영어판을 만들고 각종 문화예술 서적까지 영문판으로 펴내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영미권에 존재하는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씻어내고 우호 여론을 확산하려는 국가 주도의 프로그램을 이미 가동하고 있는 것이다.



그에 비해 우리 정부의 냉정한 외교 대응 기조는 무기력하고 속수무책에 가까웠던 게 사실이다. 이완구 국무총리는 9일 일본의 임나일본부설 주장과 관련, 지록위마(指鹿爲馬·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함)라는 표현을 써가며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역사 왜곡은 안 된다"고 비판했다. 총리까지 직접 나서서 역사왜곡을 비판한 것은 사태의 심각성이 그냥 보아넘길 수준을 넘어섰다는 의미일 것이다. 국회 동북아역사왜곡대책 특별위원회도 10일 일본의 역사왜곡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왜곡된 역사를 막강한 경제력과 외교력을 토대로 대외 홍보하는 동시에 이웃 국가와는 과거사 전쟁도 벌이겠다는 국가에 양심과 반성만 촉구하는 것은 공허한 소리다. 이제는 정부와 학계, 시민이 지혜를 모아 우리의 역사 및 영토교육에 취약점은 없는지 근본부터 살펴보고 보완해야 할 시점이다. 국제사회에 호소만 할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나가서 알리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 점에서 초·중·고등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일본군 위안부 바로알기' 교육교재를 제작 배포하기로 했다는 최근 정부 발표는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프로젝트를 세우고 충분한 재원 지원으로 외교에 힘을 보태주는 건 정부의 몫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