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타임즈]서울특별시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행정자치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서울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1천10만3233명으로 집계됐다. 2010년 말 서울시 주민등록 인구 1천31만2545명과 비교하면 20만9312명 줄었다. 연 5만 명씩 감소한 셈이다. 이 추세가 앞으로도 지속된다면 내년 말이나 2017년 초에는 ‘서울 주민등록 인구 1천만 명’이 붕괴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외에 인구가 줄어든 시·도는 부산, 대구, 전남이다.
서울 인구가 감소한 반면 인천·경기 인구가 계속 증가하면서 수도권 주민등록 인구는 같은 기간 2천485만7천463명에서 2천536만3671명으로 2.04% 늘었다. 세종·충남 등이 행정중심복합도시 및 산업시설 증설 등으로 인구가 늘어난 대표적 도시로 꼽힌다. 서울시의 인구 감소는 고공행진을 거듭하는 전세가 폭등으로 인해 ‘좀 더 싼’ 집을 구하기 위해 서울을 떠나는 ‘전세 난민’ 양산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인구의 ‘탈 서울화’는 인구의 지방 유입과 지역 균형발전 측면에서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전체 산업 사업체의 51%, 일자리의 51%가 수도권에 집중해 있고 임금이 높고 고용이 안정적인 좋은 일자리 비중이 높은 전문직과 정보 서비스업의 경우 각각 71%와 79%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글로벌 시대에 세계를 상대로 경쟁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인구수와 산업, 콘텐츠 보유 수준 등 서울의 경쟁력이 결코 선진국의 수도(首都)에 앞선다고 할 수 없다. 이런 측면에서 서울을 떠나는 인구의 급증은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정부는 혁신도시와 테크노파크,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역경제의 튼실한 성장기반을 구축하도록 지원·육성책을 펴면서 서울의 경쟁력을 향상시켜 세계의 수도들과의 경쟁에서 앞서나가게 해야 한다. ‘수도권·지방 살리는’ 투 트랙 정책으로 상생의 한국경제를 살려 나가야겠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