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자동네타임즈]새정치민주연합이 혁신위원장을 영입했다.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이 주인공이다. 김 전 교육감이 혁신위원장에 공식 임명됨에 따라 야권의 분열상을 조기에 수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제1야당의 쇄신과 미래가 김 위원장의 손에 달렸다고 해도 무방하다. 만약 혁신위가 미봉책을 내놓거나 혁신안을 놓고 계파 갈등이 재연될 경우 새정치연합은 더 큰 위기에 봉착할 수도 있다. 김 위원장이 “(주변에서) 위원장 자리는 독배나 다름없다는 말씀을 했다”며 의욕보다 부담감부터 드러낸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새정치연합은 4·29 재·보궐 선거 참패 이후 근 한 달 동안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계파 대립이 깊어지면서 지도부와 의원들은 위아래 없이 공격과 비난에 혈안이 돼 있다. 당원들도 덩달아 끼리끼리 실력행사를 벌여 당사가 시장바닥처럼 어수선하다. 지도부의 위기관리 능력 부재 탓이 크다. 김 혁신위원장은 사분오열된 당을 하나로 모으면서 죽어가는 당을 살릴 단호한 쇄신안을 내놓아야 한다. 여간 큰 과제가 아니다.
혁신위원회의 역할은 내년 총선의 공천 룰 결정과 인사 쇄신, 당무 혁신 등이다. 혁신위가 맞닥뜨릴 최대 난제이자 가장 민감할 수밖에 없는 일은 공천 룰 문제를 어떻게 규정하느냐이다. 김 혁신위원장이 공천제도 혁신을 주도해야 하지만, 원외 인사인 데다 당내 기반도 취약해 과연 중진 용퇴론이나 호남 물갈이론 등의 ‘칼날’을 휘두를 수 있을지에 의문이다. 원혜영 의원이 위원장으로 있는 공천혁신추진단과 역할이 겹친다는 지적도 있어 교통정리도 필요하다. 당내 인사혁신도 인적 쇄신의 폭과 유불리에 따라 계파 충돌이 재연될 수 있다.
혁신위에 전권이 주어지지 않으면 하나같이 어려운 문제다. 문재인 대표가 전권을 주기로 약속한 만큼 김 혁신위원장이 현역 의원 등의 저항을 물리치고 기득권에 과감히 철퇴를 내리면서 고강도 쇄신의 칼을 휘두르길 바란다. 과감한 인적 쇄신만이 당을 새롭게 변신시킬 수 있다. 사실상 이름만 남는 셈이 되는 당 지도부의 기득권 내려놓기는 당연한 일이다. 혁신위의 권한을 놓고 집행기구인 최고위가 이견을 제시하면 혁신위가 어떻게 일을 할 수 있겠는가.
제1야당이 건실해야 집권층의 ‘독선’을 막을 수 있다. 민심에 기반한 대안도 제시, 수권정당의 모습을 보임으로써 국익에도 도움이 된다. 사사건건 밥그릇 싸움이나 하고 선진화법을 무기로 국회 발목만 잡으면 새정치연합에 미래는 없다. 김상곤 혁신위는 이번이 진짜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국민, 당원의 염원을 모아 희망의 혁신안을 만들어 내길 기대한다. 그것이 국민에게 정치신뢰 회복과 미래 희망을 주는 길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