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성 리스트’ 수사, 특검까지 가서야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5-25 20:13:37
  • -
  • +
  • 인쇄

[부자동네타임즈]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수사는 초기 강력한 수사의지 및 국민적 기대에 크게 엇나간 ‘별무소득’으로 끝나는 것인가. 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정치권 금품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홍준표 경남도지사와 이완구 전 국무총리를 불구속 기소하기로 하면서 수사가 진척되지 않은 게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검찰은 더 이상 합리적인 의심이 남지 않을 때까지 모든 의혹을 살펴보겠다며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비밀장부 등 리스트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는 결정적인 자료가 나오지 않으면서 수사가 답보 상태에 빠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며칠 내에 나머지 6명과 관련된 구체적인 진술이나 증거가 나오지 않는다면 다음 달 초쯤 수사가 마무리될 것이란 전망마저 있다.

 

 

검찰은 홍 지사와 이 전 총리의 경우 성 전 회장이 돈을 건넸다는 시기와 장소 등이 비교적 명확하고 관련자들의 진술도 이를 뒷받침하는 데다 성 전 회장의 생전 동선과 행적 등도 부합하면서 수사에 속도를 낼 수 있었다. 하지만 나머지 6명은 사정이 다르다. 이들 6명의 경우 성 전 회장에게서 각각 돈을 받았다는 시점과 장소, 전달 방식, 전달자 여부 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수사의 단초가 될 만한 진술이나 제보 등도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당초 검찰은 "(수사 전략상) 일부러 안 갔다"고 말했을 정도로 재단 압수수색을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실제 압수물 분석 결과 나머지 6명에 대한 단서를 확보하긴 여의치 않은 상황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니 예고와 결과가 영 딴판인 ‘태산동명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로 결말 될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물론 검찰의 어려움을 모르는 바 아니다. 검찰 관계자의 토로처럼 당초 성 전 회장이 남긴 메모 한 장과 인터뷰만을 가지고 실체를 밝혀내라는 것은 '맨땅에 헤딩'하라는 것과 마찬가지일 수 있다. 검찰이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수사하고, 나오지 않는 것을 언제까지 붙잡고 있을 수만은 없을 터이다.

 

 

그러나 ‘성완종 쪽지’에 적힌 면면은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 핵심 실세들이다. 국민적 의혹이 이는 사안에 대해 신발신고 발 긁기 식으로 어정쩡한 수사 결과를 내놓으면 특별검사에게 맡겨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현 상설특검법상 국회는 ‘정치적 중립성과 공정성이 필요할 경우’ 특검 수사를 의결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사안의 성격이 이처럼 엄중하기에 검찰은 명운을 걸어야 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