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자동네타임즈]청와대가 또 다시 국무총리 인선 물색에 나섰다고 한다. 이완구 국무총리가 ‘성완종 리스트’ 의혹에 휩싸여 조기 낙마한 데 따른 것이다. 정권 출범 2년2개월 만에 무려 여섯 번째 총리 후보자를 찾아내야 하는 처지가 됐다. 제대로 된 총리를 인선하지 못해 국정동력을 허비하는 일이 반복되면서 청와대의 취약한 인사시스템과 박근혜 대통령의 인재 고르는 안목이 비판받고 있다.
한 동안 국정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박 대통령이 27일 귀국해 이 총리 사표를 공식 처리한 뒤 후임 총리 인선과 국회 인사청문회 절차를 마치려면 ‘총리 없는 내각’이 최소 한 달 간 이어질 수밖에 없다.
사실 정권이 반환점을 돌기도 전에 총리와 총리 후보자가 도덕성·자질 논란에 휩싸여 줄줄이 조기 낙마한 것은 우리 헌정사에 유례없는 일이다. 국가적으로 화급한 과제가 수두룩하기에 안타깝기 그지없다. 두말할 것도 없이, 가장 무거운 짐은 박 대통령 스스로 지고 있다. 새 총리 인선이 민심을 수습하는 첫 단추라는 점을 거듭 명심할 일이다.
이런 현실이기에 박 대통령이 인사 스타일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지 않는 한 총리 낙마 참사는 계속될 수 있다는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처럼 심중을 읽는 가까운 이들에게만 총리감을 묻고 일단 정하면 무조건 밀어붙이는 패턴을 바꾸어야 한다. 인재 풀을 넓게 해야 하는 이유이다.
박 대통령은 좁은 인물 존안철 같은 ‘수첩’을 접고 당파와 지역의 벽을 넘어 폭넓게 총리감을 구하길 바란다. 시야를 조금만 넓히면 인재풀의 한계는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도덕성은 물론 개혁성과 전문성, 행정경험과 추진력까지 두루 갖춘 인물이 적지 않다. 박 대통령이나 그 주변 사람들에게 과거에 어떻게 했느냐가 아니라, 앞으로 국가와 국민을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느냐를 따져야 한다. 국민대탕평이자 통합형의 새로운 인물을 찾는 길이기도 하다.
국무총리에게 요구되는 덕목은 많이 있지만 현 상황에서 우선돼야 할 자질은 도덕성이 아닐 수 없다. 도덕적 하자가 없어야 국민의 신뢰가 생기고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도 보탬이 될 수 있다. 제대로 고르고, 제대로 검증해야 하지만 후보자로 선택되는 사람도 스스로를 면밀히 되돌아보고 조금이라도 양심에 걸리는 게 있으면 나서지 말아야 한다. 대한민국은 경제, 안보, 급변하는 국제정세 등 안팎으로 어려운 시기에 처해 있다. 그만큼 국정을 통할하는 총리 역할이 중차대하다. 국민 대다수가 박수치는 총리 인선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