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타임즈]수사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이 총리는 계속되는 말 바꾸기로 사실상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빠진 모양새였다. 이 총리는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3000만원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돼 여론의 거센 비난을 받았다.
이 총리는 금품 수수 의혹을 전면 부인했지만 국회 대정부질문을 거치면서 거짓 해명 논란이 불거졌다. 이 총리는 특히 성 전 회장과의 친분에 대해 “19대 국회에서 국회의원 1년 가까이 한 것 외에는 특별한 인연이 없다”고 당당하게 말했다. 하지만 특별수사팀이 성 전 회장의 통화기록을 분석한 결과 작년 3월 이후 두 사람 사이에 착·발신 기록이 210차례가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에 오른 이완구 국무총리가 20일 전격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검찰 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 총리 말의 신뢰성을 더욱 떨어뜨렸다. 일국의 총리가 비리 연루 혐의와 불신의 대상이 돼 총리 취임 64일 만에 자진사퇴 의사를 표명한 사실에 국민들은 안타까움을 넘어 참담함을 느낀다.
검찰 안팎에서는 이 총리가 사의를 표명함으로써 리스트 인물 8인 가운데 첫 번째 수사 대상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홍준표 경남지사와 함께 이 총리는 리스트에 실명과 수수액이 적시됐을 뿐 아니라 성 전 회장의 언론 인터뷰 녹취록을 통해 당시 돈을 주고받은 구체적인 정황이 드러나면서 검찰 수사의 우선 대상자라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물론 부패와 비리 등 범죄 있는 곳에 엄중한 법의 심판은 뒤따라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최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성완종 리스트’ 관련 현안보고에서 “불법 정치자금 전반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한 것은 의미가 크다. 정치권의 불법 자금에 대한 전방위 수사를 시사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검찰의 책임이 무겁고 크다. 사안의 부수적 요소는 배제하고, 파사현정(破邪顯正) 자세로 리스트 의혹의 실체적 진실을 밝혀내는데 검찰력을 집중해야 한다. 물론 수사에 난관이 적지 않을 것이다. 의혹을 제기한 성 전 회장은 세상을 등졌다. 하지만 검찰은 성역 없는 수사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검찰이 즐겨 쓰는 표현처럼 ‘수사는 생물’이다. 어느 방향으로 튈지 수사팀조차 알 수 없다. ‘2012년 대선자금 불법 모금사건’으로 번질 공산도 크다. 이럴수록 집권층은 검찰에 대한 통제의 유혹을 뿌리쳐야 한다. 정치권도 마찬가지다. 문무일 수사팀이 “일체의 이해관계 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철저히 수사하겠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는 만큼 정치적 주문을 자제하길 바란다. 지금은 조용히 검찰 수사를 지켜보는 게 도리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