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홍준표 지사 소환, 속도 내는 검찰의 ‘리스트’ 수사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5-08 09:14:12
  • -
  • +
  • 인쇄

 

[부자동네타임즈]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 특별수사팀이 속도를 내고 있다. 고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1억 원을 건네받은 의혹이 제기된 홍준표 경남지사가 오늘 검찰 조사를 받는다. 홍 지사는 성 전 회장과 금품수수 의혹이 불거진 정치인 8명 중 첫 소환자가 됐다.

 

 

이미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고발된 홍 지사는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는다. 홍 지사는 옛 한나라당 대표 최고위원 경선에 나선 2011년 6월께 성 전 회장 측으로부터 1억 원을 건네받은 의혹을 받고 있다. 당시 성 전 회장 측으로부터 1억 원을 받아 홍 지사 측에 건넸다고 주장하는 윤승모 전 경남기업 부사장은 이미 4차례에 걸쳐 검찰 조사를 받았다. 20여 년 전 문민정부 시절 검사로서 슬롯머신 사건을 파헤쳐 정치인과 고위관료들의 비리를 사정, ‘모래시계 검사’로서 명성을 떨쳤던 홍 지사가 이젠 정 반대의 신분으로 ‘낙마의 눈물’을 흘릴 지 수사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검찰은 이완구 전 국무총리와 성 전 회장의 금품거래 의혹 규명에도 속도를 냈다. 언론에 의혹을 뒷받침하는 증언을 한 이 전 총리의 옛 운전기사와 재보선 캠프 자원봉사자를 잇달아 불러 조사했다. 리스트에 거론된 인물의 면면이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 핵심 실세들인데다가 언론 인터뷰에서 언급한 정치자금의 전달 시기, 전달 장소, 전달 목적 등이 매우 구체적이고 자연스럽다. 리스트의 기록이 사실로 밝혀진다면 대통령의 최측근들이 한꺼번에 부패에 연루된 우리 정치사 최대의 부패 스캔들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이 커지면서 야권 인사 연루설도 현실화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성 전 회장이 노무현 정부 말기 사면을 받은 사실은 과정이 미심쩍기에 제기되는 의혹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야당 중진의원 7~8명 이름이 구체적으로 적시돼 급속하게 유포되고 있는 상황이다. 야권 인사들이 연루됐다면 야당 의원에 대한 검찰 수사는 피할 수 없어 보인다.

 

 

누가 가시적으로 검찰 수사를 받는 것과는 관계없이 정치권은 정치개혁의 폭을 확대하고 강도를 높여야 한다. 이 기회에 구태에 젖은 기성 정치인들에 대한 인적 청산도 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이를 정치권 스스로 하지 못하면 결국 언젠가 외부의 압력에 밀려 할 수밖에 없다. 아울러 부패의 잠재적 수요자, 즉 돈의 힘을 믿고 정치에 기웃거리는 지역 재력가에 대한 감시 방안도 강구할 때가 됐다. 불법 정치자금 및 뇌물수수 의혹에 대한 검찰의 수사는 좌고우면 없이 진행하되, 정치자금 투명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은 조속히 마련돼야 할 당위성이 있다. 선관위는 고액 정치후원금 가운데 인적사항이 기재되지 않거나 부실 기재된 경우는 전액 국고에 귀속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부패 정치인을 선거로 솎아내겠다는 유권자들의 깨어 있는 의식은 그 같은 개혁의 전제조건이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우리 정치의 구태를 벗기겠다는 실천의지다. ‘성완종 리스트’가 적힌 메모 쪽지는 정치개혁에 대한 독촉장이요, 구습(舊習)탈피용 비용 청구서다. 검찰의 책임이 무겁고 크다. 사안의 부수적 요소는 배제하고, 리스트 의혹의 실체적 진실을 밝혀내는데 검찰력을 집중해야 한다. 소멸시효와 관계없이 가려진 진상을 낱낱이 기록하고 공개해 다시는 악습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힘써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