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의약품 리베이트 범죄, 뿌리 뽑아야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5-08 09:11:17
  • -
  • +
  • 인쇄

 

[ 부자동네타임즈]잊을 만하면 터지는 것이 리베이트 범죄다. 경찰이 최근 전국 의사 600여명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한 제약회사의 자료를 입수해 수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제약사 대표 김 모씨는 2010년 3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A사 회계장부를 허위로 꾸며 수십억 원대의 비자금을 조성, 영업사원들을 통해 전국 병·의원 의사 10명에게 10억 원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간 치료제 생산업체인 A사는 리베이트를 주면서 의사들에게 A사 제품을 처방하도록 요구했다는 것이다.

 

 

의약계 리베이트 실상은 그 뿌리가 얼마나 깊은지 새삼 보여준다. 2010년 리베이트 쌍벌제가 도입된 이후에는 수법이 더 교묘하다. 지난 연말에도 117년 전통의 D약품이 자사 의약품을 처방해주는 대가로 전국 병·의원 의사들에게 50여억 원의 금품을 건네 적발된 바 있다. 확인된 병·의원만 923곳에 달할 정도였다.

 

 

리베이트 수법은 혀를 내두르게 한다. 제약사와 판촉계약을 맺은 광고대행사의 영업사원이 병·의원 의사를 상대로 형식적인 설문조사를 벌인 뒤 그 대가로 뒷돈을 건네는 방식이다. 리베이트에는 현금과 상품권 외에 고가 골프채, 명품 지갑까지 사용되고 있다. 의사가 사는 원룸의 임차보증금, 월세, 관리비를 대납해주는 경우도 있다. 의사에게 건네는 ‘검은 돈다발’은 국민건강보험 재정을 악화시키고, 국민 부담을 키운다. 많게는 약품 판매액의 20% 정도가 리베이트에 의해 부풀려졌다는 분석도 있다. 이러니 건보 재정이 나빠지지 않을 도리가 있겠는가.

 

 

국민 호주머니를 터는 파렴치 범죄를 뿌리 뽑자면 리베이트 사범에 대한 처벌 수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의약계도 뼈를 깎는 자정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 이번만큼은 건강사회를 좀먹는 악성종양을 완전히 도려내겠다는 각오로 정부와 의약계가 함께 나서야 한다. 리베이트에 의존하는 제약사와 병원·의사들은 부끄러운 줄을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