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타임즈]극우 광풍이 부는 일본 내에서 ‘양심’의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신선한 충격이다. 일본 역사학연구회를 비롯한 16개 역사 연구·교육 관련 단체는 중의원 의원회관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강제연행된 위안부의 존재는 그간의 많은 사료와 연구에 의해서 실증돼 왔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성명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사실로부터 눈을 돌리는 무책임한 태도를 일부 정치가와 언론이 계속 보인다면 그것은 일본이 인권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것을 국제적으로 홍보하는 것과 같다”고도 질타했다. 역사단체는 아사히신문의 기사 취소 후 “강제연행 사실이 근거를 잃은 것처럼 (취급)하는 언동이 일부 정치가와 미디어 사이에서 보인다”고 성명의 동기를 명시했다.
우리는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들이 이처럼 일본 정권 차원의 역사왜곡에 흔들리지 않고 양심적 성명을 채택한 데 대해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이번 성명에는 역사학연구회를 비롯해 일본 역사학계 상위 5개 단체 중 4개가 참여한데다, 전체적으로도 일본 내 역사 관련 주요 단체가 망라됐다는 평가를 받는 것은 동참 학자들이 양심의 울림을 따랐다고 보는 것이다.
역사학연구회의 구보 도루(久保亨) 위원장 같은 이는 이번 성명이 일본 내 역사학 및 역사교육 관계자 다수의 일치된 견해를 담고 있으며, 반년 가까운 시간을 들여 성명을 준비했다고 밝히고 있어 학술적·이론적 논거가 충분함을 반증하고 있다. 이번 성명이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과거사 직시를 촉구하는 국제 역사학계의 폭발적 움직임이 일본 내부적으로 확산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기도 하다. 아베 정권은 일본 내 대표적인 역사학자들이 양심을 걸고 외치는 목소리를 귀담아 듣고 위안부 진실 은폐 등 과거사 왜곡에 대해 사과하고 올바른 역사를 기록하길 바란다. 그래야만 한·일 미래세대들이 어두운 과거를 털고 21세기 협력의 시대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아베 정부가 과거사를 왜곡하면 할수록 이처럼 역사의 진실을 알리려는 일본 시민사회의 목소리도 커질 게 분명하다. 일본 국민의 절반 이상(56%)이 아베 총리가 종전 70주년 담화에서 과거사를 반성·사죄해야 한다고 답했다는 한 여론조사는 그 한 방증이다. 일본은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들은 물론 국민들마저 반발하는 과거사 왜곡과 독도 영유권 문제에 대해 더 이상 억지를 부리지 말길 바란다. 아베 총리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는 없는 노릇 아니겠는가.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