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日 아베총리, 진솔하게 반성하는 訪美되야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4-27 08:40:09
  • -
  • +
  • 인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행보가 관심사다

 

 

[ 부자동네타임즈]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행보가 관심사다. 아베 총리는 어제부터 미국을 공식 방문하고 있다. 일본 총리로서는 2차 대전 후 처음으로 29일 미국 상·하원 대상 합동연설을 할 예정이다. 한국과 중국, 동남아제국, 미국의 조야(朝野)까지도 아베 총리가 이번 연설에서 과거 일본의 식민 지배와 침략에 대해 어떤 인식을 드러낼지 주목하고 있다.

 

 

미국 의회 차원의 강력한 대일 메시지가 나왔다. 미국 민주·공화당 소속 의원 25명이 아베 총리 방미 이틀 전 초당적으로 연판장을 돌려 아베 총리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과거사 문제에 대해 공식으로 사과하라고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에드 로이스(공화) 하원 외교위원장과 마이크 혼다(민주)를 비롯한 민주·공화당 소속 의원 25명은 “아베 총리는 역사를 직시하면서 무라야마 담화와 고노 담화를 공식으로 재확인하고 인정하라”는 취지의 연명서한을 작성, 사사에 겐이치로 주미 일본대사에게 보냈다.

 

 

모레 상·하원 합동연설에 나서는 아베 총리로서는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보다 명확한 반성과 사과를 표명해야 하는 압박감을 크게 느낄 것으로 보인다. 아니, 미 의원들의 집단 요구가 아니더라도 아베 총리는 마땅히 양심의 가책을 받고 진솔한 과거사 반성을 해야 한다.

 

 

위안부 문제의 본질은 일본군이 위안소 설치·관리에 관여했고, 감언이설·강압 등으로 피해자들의 의사에 반해 모집됐다는 데 있다. 일본 정부가 1993년 고노 담화를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한 내용이다. 그런데도 아베 총리는 고노 담화를 무력화하려고 시도했다. 아베 총리의 과거사 관련 발언의 진정성이 항상 의심받는 근본적인 이유다.

 

 

아베 총리는 국제사회가 위안부 문제를 극악무도한 인권침해로 규정한 이유를 되새겨야 한다. 일본 총리로는 처음으로 미 상·하원 합동연설회장에 섰을 때 연설에 어떤 내용을 담느냐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기존의 무라야마 담화와 고노 담화를 계승하면서 일본군 위안부를 포함해 과거사 문제에 대한 진솔한 반성과 사죄를 담는다면 오히려 전화위복(轉禍爲福)의 기회가 될 수 있다. 얼어붙은 한·일 관계가 풀리면서 한·미·일 3각 협력이 정상화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베 총리는 종전 70주년을 맞아 미 대통령의 대일본 선전포고 장소에서 연설하는 상징성이야말로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제대로 깨닫길 바란다. 일본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오른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지금처럼 두루뭉술한 말로 본질을 흐리면 한·일 관계와 동북아 정세의 전환점을 마련할 수 없다. 국제사회는 일본이 독일처럼 올바른 역사인식을 보여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아베 총리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