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임나일본부설’까지 주장하는 일본의 역사왜곡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4-10 07:58:03
  • -
  • +
  • 인쇄

[부자동네타임즈] 정부·여당이 대(對) 일본 외교를 전담할 ‘한·일관계 미래 발전을 위한 태스크포스(TF)’(가칭)구성을 검토키로 했다고 한다. 당·정은 국회에서 어제 나경원 국회 외교통일위원장과 윤병세 외교부장관 등이 회동, 이 같은 의견을 모았다는 것이다. 만시지탄이다. 작금 일본의 역사 왜곡은 끝을 모를 정도로 극우적 국수주의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항상 반복적 대응만 해서는 안 되고, 좀 더 적극적인 조치를 해야 할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던 때이다.

 

 

 

예컨대 일본은 그들이 한국역사를 왜곡해 만든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을 일본 문화재청 홈페이지에 버젓이 올린 것으로 최근 확인됐다. 기가 막힐 일이다. 임나일본부설은 일본 야마토(大和) 정권이 4∼6세기 임나일본부라는 기관을 설치해 한반도 남부를 식민 지배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일본 학계에서조차 정설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더군다나 일본은 자신들이 한 언행조차 부인하고 있다.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회는 2007년 6월부터 토론 결과를 담은 최종 연구보고서를 2010년 3월 내놓은 바 있다. 당시 중요한 결실 가운데 하나는 한·일 역사학자들이 ‘임나일본부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데에 합의한 사실이다. 문제는 그 이후에도 많은 일본 학교에서는 ‘임나일본부설’을 사실인 것처럼 가르치고 있고, 한 술 더 떠 이번에는 일본 문화재청 홈페이지에 버젓이 올려놓았으니 겉 다르고 속 다른 일본 지도층을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하긴 한·일 역사공동연구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역사 인식이 아직도 침략을 정당화하는 미망에 사로잡혀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을사늑약, 한일강제병합조약, 식민지배 하에 이뤄진 강제 동원에 대한 일본 역사학자의 주장을 보면 그렇다. 다수 일본 학자들은 “국제법적으로 합법적”이라고 강변하고 있으니 일본의 천박한 역사인식에 연민을 느끼게 한다.

 

 

일본의 이번 도발은 국교 수립 50주년과 광복 70주년을 맞아 한·일 간에 모처럼 조성되고 있는 대화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라 더욱 유감스럽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로 대표되는 일본 지도층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충고’를 되새기길 바란다. 지난달 일본을 방문한 메르켈 총리는 “과거의 반성 아래 국제사회가 화해의 손길을 뻗어준 사실을 잊지 않으며 이런 신뢰는 독일에 행운이었다”고 했지 않은가.

자기편의주의적으로 역사를 해석하는 일본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지록위마(指鹿爲馬), 아무리 사슴을 말이라고 해도 말이 아닌 것처럼 역사는 정의(正義)를 구현하게 된다. 여하튼 이런 현실에서 당·정이 대일(對日) 외교를 전담할 TF 구성을 한다니 기대가 크다. 내실 있는 준비와 결실을 바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