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타임즈] 성완종 리스트’가 정치권을 뿌리째 흔들고 있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남긴 정치자금제공에 관한 메모지와 육성녹취록이 적잖게 신빙성을 띠면서 검찰의 수사도 본격화됐다. 특별수사팀장인 문무일 대전지검장과 수사검사들은 “결연한 의지를 갖고 국민적 의혹이 집중된 이 사건의 진상 규명을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일체의 이해관계 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철저히 수사하겠다”고도 강조했다.
맞는 말이다. 국민적 의혹이 집중된 사안인 만큼 검찰의 성역 없는 수사는 마땅한 일이다. 파사현정(破邪顯正)을 본령으로 하는 검찰의 책무이기도 하다. 수사 결과에 따라서는 한국의 정치지형을 바꿀 수 있는 ‘판도라의 상자’일 수도 있다. 수사팀이 정치적 시비를 낳지 않으려면 좌고우면하지 않고 올곧게 수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문제는 국정이다. 국리민복을 위한 국회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장기 불황에 따른 국민일반의 삶은 피폐해지고,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한반도의 미래가 분수령에 처해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마침 새누리당 유승민, 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 원내대표가 어제 주례회동을 하고 4월 임시국회 현안 및 일정에 대해 논의한 것은 만시지탄이다. 이 자리에서 국회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위에서 지난 10일 채택한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왜곡 중학교 교과서 검정 승인 규탄 결의안’의 본회의 처리 합의, 연장에 합의한 자원외교 국조특위의 증인 채택 문제, 공무원연금개혁, 각종 경제살리기 법안 처리, 고용노동시장 개혁 등 정치·경제·노동계 현안 등을 논의한 것은 긍정적이다. 물론 사안마다 여·야 정치권, 시민사회세력 간 맞부딪칠 수 있는 민감한 의제들이기에 충분한 조율은 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정치권에 당부한다. 정쟁(政爭)을 지양하고 민생·경제 문제를 최우선으로 해결하겠다는 실천의지를 가시적으로 보여 달라는 점이다.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가 시시각각 엄습해 오는데다 미국의 양적완화 종결 이후 연말쯤 예상되는 금리인상 등 한국경제에 불안요소마저 적지 않은 실정이다.
현실이 이러한데 정치권만 민생은 안중에 없이 정쟁에 파묻혀 대책 마련에 실기하면 이 나라의 미래는 어찌 되겠는가.
‘성완종 리스트’에 관한 검찰 수사는 수사대로 진행하고 의혹 대상 정치인은 수사에 협조, 엄정한 법의 심판을 받으면 된다. 다만 국정은 하루라도 지체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정부와 여·야 정치권은 속히 정국을 수습하고 개혁현안을 마무리하는 데 힘써야 한다. 국민을 위한 공직자의 도리이자 의무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