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자동네타임즈]박근혜 정부의 6번째 국무총리로 황교안 법무부장관이 지명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완구 전 총리의 사퇴로 공석 중인 총리 후보자에 황교안 법무장관을 발탁한 것이다. 박 대통령의 황 총리 후보자 인선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장기간 총리 부재에 따른 국정공백을 해소할 수 있다. 게다가 황 총리 후보자는 국회 답변에서 야당 의원들의 질의에도 막힘이 없이 답변하는 소신의 지도자로 알려져 있는데다 청렴성과 공사 구분, 차분하고 온화한 성품으로 외유내강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황 총리 후보자는 국회 청문회를 통과해 취임한다면 할 일이 산적해 있다. 무엇보다 난맥상에 빠진 국정을 수습하고 공무원연금개혁과 정치개혁 등 각종 쇄신 과제를 추진해야 한다. 주어진 국정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선 포용과 결단의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 국민을 위한 총리가 아니라 정권을 위한 총리, 대통령을 위한 총리. 진영을 위한 총리라면 요동치는 한반도 정세와 경제불황 등 현재의 난국을 헤쳐 나갈 수 없다. 황 총리 후보자는 국민의 신임을 받을 수 있는 도덕성을 갖춘 인사로 알려진 만큼 국민통합에 앞장서 국리민복에 힘쓰길 기대한다.
글로벌 시대 무한경쟁 체제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는 사실도 직시해야 할 것이다. 국정과제 추진과 개혁을 위한 ‘골든타임’을 허송해선 안 된다. 당초 박 대통령 집권 3년차인 올해는 전국 단위 선거가 없는 해여서 각종 개혁 추진의 적기로 예상돼 왔다. 정부·여당도 올 초부터 공공·노동·금융·교육 등 4대 개혁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었던 터다. 하지만 현 상황은 어떤가. 이미 ‘성완종 리스트’라는 ‘블랙홀’이 이슈를 상당부분 집어삼켰다. 4대 개혁은 올 스톱, 아니 오히려 후퇴 징후까지 엿보인다. 쇠는 뜨거울 때 두드려야 하는 법인데 개혁의 성패를 좌우할 ‘담금질’ 시간은 이렇듯 안타깝게 흘러가고 있다. 조속히 정상적인 국정 운영의 궤도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
국회의 검증과 인준 과정이 남아있긴 하다. 새누리당이나 새정치민주연합 등 여야는 다른 논평을 내놓았다. 여하튼 청문회를 통과한다면 내각을 통할하는 입장에서 최우선적으로 경제살리기에 힘을 쓰길 바란다.
간과할 수 없는 일은 총리가 역할을 제대로 하려면 대통령이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대통령제에서 총리의 힘은 대통령에게서 나온다. 총리가 역량을 발휘한다고 해도 대통령이 가슴을 열지 않으면 국정운영의 효율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박 대통령이 황 후보자에게 힘을 실어주지 않는다면, 그리고 황 후보자의 쓴 소리를 경청하고 실행에 옮기려는 자세가 되어 있지 않으면 황 후보자가 아무리 애를 써도 또 다시 ‘방탄 총리’ ‘대독 총리’로 남을 수밖에 없다. 그런 사태는 국민과 대통령 모두에게 불행이다. 물론 황 총리 후보자는 그간의 공직 경험으로 미루어 책임 총리의 면모를 보여 줄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 우리 사회는 박 대통령의 리더십과 국정 난맥이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해 성공에 대한 기대를 아예 포기할 수밖에 없다는 식의 절망적 개탄까지 국민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시기에 황 후보자가 짊어져야 하는 짐은 역대 어느 총리보다 무겁다. 올해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각종 개혁과제들이 본궤도에 오른다. 구조개혁의 성패는 각계각층 이행당사자와의 원활한 소통과 합의 여부에 달려 있다. 끊임없이 소통 행보를 하는 총리, 대통령이 아닌 국민에게 귀 기울이는 총리가 돼주길 당부한다.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의 선택은 그런 출발점이 돼야 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