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타임즈]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한·일관계가 풀릴 수 있을 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오는 22일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계기로 일본 방문 방침을 굳힌 것으로 전해진 것이다. 윤 장관은 일본 방문 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할 것으로 전망돼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 갈등으로 경색국면에 있는 한·일관계 개선에 전기가 될 지 주목을 끌고 있다.
윤 장관은 또 방일시 22일 도쿄에서 주일 한국대사관 주최로 열리는 국교정상화 50주년 리셥션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주일 한국대사관의 리셥션에 윤 장관과 함께 기시다 외무상이 함께 참석할 가능성도 예견되고 있다. 주일 한국대사관 리셥션에 기시다 외무상을 포함한 일본측 고위인사가 참석하면 주한 일본대사관이 서울에서 개최하는 리셥션에도 우리 측 고위 인사의 참석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양측 기념행사에 축하 메시지를 보낸다면 한·일 관계에 ‘화해의 미풍’이 불 수 있는 분위기 마련이 가능하다고 본다.
윤 장관의 이번 방일이 이뤄지면 박근혜 정부의 초대 외교수장으로서 첫 방문이다. 지리·역사적으로 일의대수(一衣帶水)처럼 가까워야 할 한·일관계가 냉각돼 있다는 뒷받침이다. 윤 장관의 방일을 계기로 양국 외교수장들이 교차 방문하는 일을 계기로 한·일 협력의 신시대를 열기를 기대한다.
관건은 일본이 위안부 강제 동원 부인 등 역사왜곡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일본이 성의를 보여야 한다는 사실이다.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일 두 나라 간 협상에서 최대 난제는 일본의 국가적 책임 인정이다. 이에 대해 일본은 법적 배상 문제와도 직결되기 때문에 양보할 수 없다는 태도다. 한국 측은 어떤 식으로든 일본군 혹은 일본 정부가 조직적으로 위안부를 동원했다는 사실이 포함돼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문제는 양국이 외교적으로 합의한다고 해도 끝나는 게 아니다. 더 어려운 자국 내 여론 설득이 남아있다. 정부는 일본과 협상을 시작할 때부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과 국민이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이 기준이라고 강조해왔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고노담화에서 위안부의 강제성은 인정했지만, 일본군의 계획 하에 했다는 내용은 없다. 이번에는 일본 정부가 계획적으로, 강제적으로 위안부를 동원했다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본은 피해자의 심정을 충분히 배려, 진솔한 사과와 배상을 함으로써 한·일 협력의 새시대를 열어가는 데 노력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