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타임즈] ‘관광한국’을 지향하는 우리나라에 비상등이 켜졌다. 한국을 찾는 중국인 요우커(遊客·관광객)가 다시 한국을 방문하는 비율은 오히려 줄고 일본을 찾고 있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0년 37.4%를 기록했던 중국인 재방문객 비율이 2013년에는 25.8%까지 떨어졌다.
요우커 급감의 표면적 이유는 엔저(低)다. 엔화가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내각이 2012년 12월 출범한 이후 현재까지 40%가량 하락했다. 엔화가치 하락에 따른 여행비용 부담이 줄어들자 일본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2012년 일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840만여명이었으나 지난해에는 1340여만명으로 약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도 엔저 때문이다. 요우커도 예외는 아니다. 올해 2~4월 일본을 방문한 요우커 수는 110만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일본 정부가 외국인 관광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려고 비자 발급을 완화하고 면세제도를 크게 완화한 점도 중국인 관광객을 끌어들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관광당국과 관광업계의 협력적인 대응방안이 요청된다. 무엇보다 발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우리 정부는 관광산업을 미래성장동력으로 삼고 육성안을 마련했지만 정작 규제 완화에는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당장 외국인 관광객 입국의 주관문인 공항은 포화상태에 이르러 더 이상의 추가노선 개설이 여의치 않은 형편이다.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출국장은 평일에도 하루 평균 13만명 이상이 몰려 출국장 게이트가 북새통을 이루는 상황이 연일 벌어지고 있다.
외래객이 투숙할 수 있는 호텔 객실 수도 한국은 13만실에 불과했다. 일본 156만실의 8% 수준이다. 하지만 호텔업법 등이 포함된 ‘관광진흥법 개정안’도 지난 4월 임시국회 처리가 무산돼 1년째 표류 중이다. 의료·보건 관광객을 연간 21만명에서 50만명 끌어올리자는 계획도 원격진료를 막는 의료법 등에 막혀 제자리걸음이다.
말로만 한국관광산업의 자생력을 키우자고 주장할 게 아니라 당장 외국인 관광객이 제대로 머물 수 있는 환경부터 조성해야 한다. 한국관광산업을 통합 조정하는 컨트롤타워 마련을 꼽을 수 있다. 항공은 국토교통부, 모텔은 식품위생법을 다루는 보건복지부, 부가세 환급은 관세청이 각각 맡아 다른 소리를 내기에 ‘따로 국밥’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실정이다. 대통령이나 국무총리 직속으로 관광위원회를 만들어 ‘원스톱’으로 논의하고 결정하는 기구 신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