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타임즈] 황교안 국무총리가 취임했다. 제44대 총리다. 국회는 18일 본회의를 열고 황 총리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을 처리했다. 당초 여야의 이견으로 새누리당의 단독 처리도 예상됐던 황 총리의 임명동의안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정국 속에서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는 차원에서 여·야가 전격 표결 처리에 합의하면서 정상적인 절차를 밟게 됐다.
황 총리에게는 할 일이 산적해 있다. 당장 전임 이완구 총리의 퇴임 이후 52일 동안 ‘국정 공백’이 발생, ‘메르스 부실 대처’에서 보듯 정부의 행정효율이 크게 의문시되고 있다. 이런 현실이기에 행정부 통합관리에 매진해야 한다.
황 총리의 역할에 기대를 건다. 박 대통령이 황 총리를 임명한 것은 정치권 부정부패를 근절하고 정치개혁을 강하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황 총리가 법조계 출신인 만큼 사회 전반에 깔려 있는 부패 고리를 끊어 신뢰와 창조의 사회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는 확신 인사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청와대와 내각은 물론이고 국회와의 소통에 전력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야당 수뇌부를 찾아 차질 없는 국정 협조를 당부해야 할 것이다. 통합진보당 해산을 이끌어 낸 데서 보여주었듯 황 총리의 법치 의지는 높아 보인다. 하지만 비리로 얼룩진 정치권 비정상을 어떻게 정상으로 돌릴 수 있는지를 숙고해야 한다.
창조경제 활성화와 규제개혁은 집권 3년차를 맞는 박근혜 정부 최대 국정 과제다. 황 총리 는 대통령에게 쓴 소리를 마다하지 않아야 한다. 공직기강을 다잡고 내각을 통할하는 카리스마 총리 면모를 보여줘야 하는 이유이다. 깊어진 불황을 이기는 경제 살리기도 결국 여기에 달렸다.
주어진 국정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선 포용과 결단의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 국민을 위한 총리가 아니라 정권을 위한 총리, 대통령을 위한 총리. 진영을 위한 총리라면 요동치는 한반도 정세와 경제불황 등 현재의 난국을 헤쳐 나갈 수 없을 것이다. 또한 황 총리는 국민의 신임을 받을 수 있는 도덕성을 갖춘 인사로 알려진 만큼 국민통합에 앞장서 국리민복에 힘쓰길 기대한다.
글로벌 시대 무한경쟁 체제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는 사실도 직시해야 할 것이다. 국정과제 추진과 개혁을 위한 ‘골든타임’을 허송해선 안 된다. 간과할 수 없는 일은 총리가 역할을 제대로 하도록 대통령이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대통령제에서 총리의 힘은 대통령으로부터 나올 수밖에 없다. 황교안 국무총리의 어깨가 무겁다. 그럴수록 국민과 함께 하면 조금은 짐이 가벼워지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