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제 피해 최소화해야 할 ‘메르스 공포’

부자동네타임즈 / 기사승인 : 2015-06-04 01:06:14
  • -
  • +
  • 인쇄

[부자동네타임즈]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의 공포가 전국을 휩쓸고 있다. 사망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우려했던 3차 감염자까지 나와 국민들의 불안은 일상생활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하다. 임시 휴업에 돌입했거나 휴업하기로 결정한 유치원과 학교만 무려 150곳이 넘는다. 수학여행은 물론이고 대형병원 예약도 줄줄이 취소되고 있다. 메르스 감염 확진자가 계속 늘어날 경우 이런 추세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지 않아도 불황에 시달리는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당장 한국관광공사는 전 세계 31개 해외 지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메르스로 인해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와 대만 관광객 등 7~8월 성수기 한국 여행예약을 취소한 사례가 1일 기준 2500여명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저성장 늪에 빠진 한국 경제가 '메르스 후폭풍'까지 걱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보건당국은 물론 경제당국 등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메르스에 총체적 대응을 해야 할 것이다. 신종플루, 에볼라 등 '불청객'이 휩쓸고 간 나라마다 성장률 하락을 겪었던 데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예컨대 국제 금융시장에 따르면 2002년에 발생한 사스는 아시아지역에서 급속히 퍼지면서 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갔다. 인명 피해 뿐 아니라 사스가 훑고 지나간 국가들의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다. 2009년 멕시코 등에서 발생한 신종플루 역시 해당국의 소비심리를 악화시켜 내수 경기를 눌렀고, 지난해 창궐한 에볼라는 서아프리카 경제를 파탄냈지 않은가.

 

 

당국은 비상한 각오로 전염력 강한 질병을 제대로 사전·사후 관리해야 한다. 국가 위기관리의 하나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그 능력이 지금처럼 한심한 수준이어선 정부에 대한 국민 불신은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메르스의 잠복기는 2주일이어서 이번 주가 확산의 고비라고 한다. 3차 감염도 확실하게 차단하는 일이 급선무다. 그 고비를 넘기고 상황이 정리된 뒤에는 안이한 자세로 일관해 화(禍)를 키운 책임자들에 대해 엄중한 문책으로 근무 기강부터 확고하게 바로 세워야 한다.

 

 

초동 대응을 잘못했더라도 이제는 사태의 위급성을 파악, 방역을 정상궤도에 올려야 한다. 사태를 수습하려면 정부와 국민이 손발을 맞춰야 대 정부 불신 여론을 잠재울 수 있다. “‘통제 가능하다’면서 날마다 감염자가 는다”는 불안에 “감염 지역을 알려 주지 않고 허둥대는 정부 꼴이 세월호 참사 때와 같다”는 비난이 더 이상 들려선 안 되겠다. 정부는 신뢰를 회복하는데 각고의 노력을 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