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새 진용, 국민에 변화와 쇄신 체감시켜야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27 16:29:48
  • -
  • +
  • 인쇄

청와대 새 진용, 국민에 변화와 쇄신 체감시켜야



(서울=연합뉴스) 청와대 새 진용이 짜였다. 김기춘 비서실장의 후임에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멘토'격 최측근인 이병기 국정원장이 임명됐고, 홍보수석으로는 김성우 현 사회문화특보가 자리를 옮겨 기용됐다. 신설된 정무특보에는 새누리당 주호영, 김재원, 윤상현 의원이 임명됐고, 홍보특보에는 김경재 전 의원이 추가됐다. 그간 관심을 모았던 신임 비서실장 자리가 채워진데 따라 내달초 대통령 중동순방을 앞두고 중반기 국정운영 실행조직인 청와대와내각진용이 완비돼 본격 가동에 들어갈 수 있게 됐다.



이완구 국무총리가 인사청문 과정에서 병역 및 부동산 투기의혹, 언론관 등으로 심각한 내상을 입은데 따라 국민의 관심은 그동안 당정청 관계에 강력한 장악력을 행사해온 김기춘 실장의 후임 인선에 쏠려왔다. 비서실장에 불균형적으로 쏠렸던 당정청 역학관계의 재조정뿐 아니라 박 대통령의 '불통'이미지 탈피를 위한 청와대 소통구조의 쇄신방향 등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병기 실장의 낙점은 박 대통령이 '쇄신과 변화'보다는 '조직안정'의 보수적선택을 중기 국정운영의 출발점으로 잡았음을 보여준다. 비서실장 교체시점의 실기에 따라 국정동력 확보를 기대하기 어렵게된 상황에서 장고 끝에 결국 본인이 신뢰할 수 있는 최측근 인사를 선택함으로써 변화에 대한 여론의 요구를 '미완'으로 남겨놨기 때문이다. '대안부재론'이 나오는 이유다. 이 실장은 박 대통령 정부에서 초대 주일대사에 이어 국정원장을 지낸 최측근이다. 외교관 출신으로 2007년 대선 경선캠프에서 선거대책부위원장과 대선 때 여의도연구소 고문으로 박 대통령을 도왔다. 2002년 대선때 한나라당에 '차떼기당' 이미지를 씌운 정치자금 불법전달사건에 연루돼 유죄판결을 받은 전력이 따라다니는게 약점이다. 또 현직 국정원장을 불과 8개월만에 비서실장으로 전격발탁함으로써 북핵문제와 남북경색이 주시대상인 상황에서 외교안보라인에 공백이 생기는게 아닌가 하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박 대통령은 줄곧 지적되어온 '소통' 문제를 인물을 통한 해결이 아닌 본인과 청와대 시스템의 과제로 미뤄둔 셈이다. 문건파문 와중에 거론된 측근 비서관들을 논란을 무릅쓰고 청와대내에 잔류시킨 결정의 연장선상에 있는 해법인 셈이다. 시간을 끌다 타이밍을 놓친데다 눈에 확 띄는 인사스타일 변화를 통해 신선함을 국민에게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이 박 대통령에게 적지않은 부담요인으로 남게됐다는 얘기다.



청와대 새 진용이 안고있는 이런 문제점은 당연히 이 실장이 최우선으로 염두에 둬야할 과제가 된다. '심기경호'까지를 염두에 둔 보좌와 철저한 업무장악이 김기춘 전실장을 '기춘 대원군'으로까지 시중에서 칭하는 요인이자 대통령의 '불통'을 가져온 배경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사회와 시대변화에 맞춘 소통형 보좌와 조직운용으로 대통령과 국민과의 거리를 좁혀나가는 것이 업무성패를 좌우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내각과 청와대 개편과정에서쇄신에 대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지 못해 국정운영에 절실한 동력을 확보하지 못한만큼 차선으로 비서실의 달라진 모습을 가시적으로 내놓는 방안이 시급하다. '돌려막기 인사' '수첩인사'라는 피할 수 없는 비판론을 실제 청와대 쇄신과 열린소통구조 도입이라는 업무성과로 상쇄하겠다는 각오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