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시스템 구멍 10년간 모른 한전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16 17:20:32
  • -
  • +
  • 인쇄

입찰시스템 구멍 10년간 모른 한전



(서울=연합뉴스) 한국전력의 전기공사 입찰 시스템에 10년간 구멍이 뚫려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지검 특수부는 한전 입찰시스템을 조작해 특정업체가 공사를 따게 해주고 거액을 받은 혐의로 한전KDN에 파견된 정보통신 업체 전·현 직원 4명을 구속 기소했다고 16일 밝혔다. 검찰은 업자들을 모아 이들에게 연결해 준 공사 업자 총책 2명도 구속 기소했다. 이들은 2005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입찰시스템 서버에 접속해 낙찰가를 알아내거나 조작하는 방법으로 모두 83개 업체가 133건의 공사 입찰에서 낙찰받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렇게 낙찰된 공사의 계약금액은 2천709억원에 달하고 이들은 그 대가로 공사대금의 1%에서부터 많게는 10%까지 받아 134억원을 챙긴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범행한 수법이나 받은 돈의 규모도 놀랍지만 이렇게 입찰시스템을 조작한 범행이 10년간이나 저질러졌다는 것이 더 놀라울 뿐이다. 비리를 통제하고 적발하는 한전의 내부 체계가 얼마나 엉망이면 이런 일이 가능했는지 말문이 막힌다.



한전이 자회사인 한전KDN에 맡겨 관리하는 전자입찰제도는 비리를 방지하기 위해 복잡하게 돼 있지만 이들에게는 소용없었다. 정보통신업체에서 한전KDN에 파견돼 일하는 이들은 입찰시스템을 조작해 예측프로그램을 만들었고 이들에게 정보를 넘겨받은 업체들은 무난히 낙찰을 받았다고 한다. 이들은 파견업체 직원이지만 한전 입찰시스템에 접근하는 데 문제가 없었다. 특히 이들은 한전KDN 파견 근무가 끝날 무렵에는 후임자를 물색해 일하게 함으로써 범행을 이어갔을 정도다. 입찰시스템 조작 범행이 사람을 승계해가며 계속되는데도 한전은 이를 적발하지 못했다. 한전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전산입찰 시스템 비위행위 의혹과 관련된 민원을 파악하고 지난해 11월 내부 점검과 감사를 진행하고 모두 26만건의 시스템을 점검, KDN 재위탁 업체 작업자의 작업내용에서 이상징후를 발견했다"며 바로 검찰에 수사 의뢰하고 각종 개선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전이 어떤 설명을 내놓더라도 이번 범행의 수법이나 지속 기간 등을 생각하면 관리 부실의 책임을 벗어날 길은 없어 보인다.



한전과 그 자회사의 비리는 심심치 않게 터지고 있다. 그 대부분은 납품이나 공사를 맡은 업체로부터 직원들이 뇌물을 받아 챙겼다 걸린 경우다. 광주지검은 지난달에도 전기공사 업체로부터 마치 월급처럼 뇌물을 받은 혐의로 한전 나주지사 전·현 직원 7명을 기소하기도 했다. 이런 뇌물 사건도 모자라 자회사가 업무를 위탁한 업체의 직원에 의해 입찰시스템에 구멍이 뚫린 것까지 드러났으니 한전은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을 처지다. 한전은 비리가 끊이지 않는 것을 처절하게 반성하고 비리 방지와 적발을 위한 내부 시스템을 확실하게 뜯어고치기 바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