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통일부 정례 브리핑 |
(서울=포커스뉴스) 정부는 18일 "북한이 2009년 임진강 수해방지 합의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사전에 무단방류한 것에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면서 재발방지를 촉구했다.
이는 지난 16일 밤~17일 새벽, 경기도 연천군 임진강 군남홍수조절댐 상류의 수위가 급격히 높아진 것에 대한 정부의 공식 항의로 주목된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을 통해 "남북은 2009년도 10월에 임진강 수해방지 실무 접촉을 갖고 (댐)방류시에는 사전에 통보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 대변인은 "임진강 무단방류는 우리 국민의 재산피해는 물론이고, 생명에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류행위가 다시는 있어서는 안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나 '북한의 수공' 도발로 판단하는지에 대해 정준희 대변인은 "수공이다, 아니다 여부를 현재 딱 잘라 말씀드리기는 어렵다"면서 "여러 가지 여건을 다시 검토를 해서 확인해 봐야 될 사항"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15∼16일 임진강 상류 북한지역에 100㎜가량의 많은 비가 내려 북한이 댐을 방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 대변인은 "이유가 어떻든지간에 이렇게 무단방류를 통해서 손해를 입히는 행위 자체가 없어야 된다"면서 "앞으로 방류를 한다면 우리 측에 즉각 통보를 해야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군통신도 끊어진 현 상황에서 정부의 실질적인 대응방법이 무엇인지' 질문이 이어지자 정준희 대변인은 "북측 황강댐 수위의 면밀한 관찰과 대비, 그리고 북에 대한 촉구활동"이라고 답변했다.
한편 외교부는 17일 "선양 총영사관에 '북중 국경지대에서 우리국민 2명이 실종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 대변인은 "정부는 지금 중국 당국에 확인 요청을 한 상왕이고, 소재 확인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정 대변인은 이어 "실종신고자가 정확히 몇 명인지는 좀더 확인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정은이 종업원 집단귀순에 대응해서 몇천 배의 보복을 가하겠다고 지시를 내렸다'는 일부 매체의 보도에 대해 정 대변인은 "그에 대해 정부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이어 "그렇지만 북쪽의 지금 행태로 볼 때는 충분히 그럴 개연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면서 "외교부나 통일부 등 관련 당국에서는 여행과 관련된 주의경보, 유관국들과의 공조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개성공단 입주기업 피해 실태조사'에 대해 정 대변인은 "조사는 거의 완료됐고, 현재 검증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면서 "조만간 결과가 나오면 국민들이 다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인 원칙과 기준을 정해서 불가피한 피해에 대한 지원 조치가 뒤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계속되는 '북한의 대화 제의'에 대해 정 대변인은 "북쪽의 여러가지 언급이 제7차 당 대회부터 계속 나왔다. 그러나 그것은 수십년간 유지해온 자신들의 입장을 되풀이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정 대변인은 "핵 포기와 관련된 어떠한 언급도 없이 그런 주장을 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선전·선동의 일환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18일 북한의 임진강 무단방류와 관련해 "북한이 2009년 임진강 수해방지 합의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사전에 무단방류한 것에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면서 재발방지를 촉구했다. 사진=포커스뉴스 정선식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