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회 '종합경기장 공원화' 압도적 찬성 이유는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28 13:52:23
  • -
  • +
  • 인쇄
전주시-전북도 갈등 재연 우려…시민단체 '무언의 압력'도 한몫
△ 시민공원으로 조성될 전주종합경기장 배치도 (전주=연합뉴스) 전북 전주시는 종합경기장을 컨벤션센터와 호텔, 문화·생활시설 등을 갖춘 시민공원으로 조성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사진은 배치도. 2015.7.14 <<전주시>> ichong@yna.co.kr

전주시의회 '종합경기장 공원화' 압도적 찬성 이유는

전주시-전북도 갈등 재연 우려…시민단체 '무언의 압력'도 한몫



(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 종합경기장을 미국 뉴욕의 센트럴파크처럼 시민공원으로 조성하려는 전북 전주시의 계획에 전주시의회가 압도적인 지지를 보냈다.

시의회는 28일 본회의를 열어 종합경기장을 '기부 대 양여' 방식에서 자체 재정 사업으로 개발하기로 한 시의 '종합경기장 이전 및 복합단지 개발사업 변경계획 동의안(종합경기장 이전사업 변경계획안)'을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변경계획안은 33명의 재적 의원 중 찬성이 26명인 반면 반대는 7명에 그치면서 '싱겁게' 통과했다.

애초 찬반이 팽팽할 것으로 점쳐졌기 때문에 이러한 예상 밖의 결과는 초조하게 지켜보던 전주시마저 놀라게 했다.

시의원들이 대거 찬성표를 던진 것은 무엇보다 민선 6기가 시작된 지난해부터 종합경기장 개발 방향을 놓고 전주시와 전북도 간의 지속된 갈등과 반목을 없애려는 선택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변경계획안이 부결되면 기초-광역자치단체 간 갈등은 물론 사회적으로 소모적인 논쟁이 재점화할 것으로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 시의원들은 종합경기장을 대기업(롯데쇼핑)이 아닌 지역의 소상공인이나 후손에게 물려주는 '미래가치'에도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롯데쇼핑이 호텔, 쇼핑몰, 영화관 등을 건립하면 지방세수 등 당장 이익이 발생하지만, 장기적으로 소상공인의 몰락을 부채질하고 시민의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전주시의 주장에 동조한 것이다.

투표 방식도 변수로 작용했다.

무기명과 기명 투표방식을 놓고 의견이 팽팽했던 것이 이를 방증한다.

투표 방식에 대해 16명이 무기명을, 17명이 기명을 선택했다.

결국 기명의 찬반 투표가 이뤄졌고, 사실상 같은 당(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시장이 야심차게 추진하려는 사업을 시의원들이 '이름을 대놓고' 반대하기가 어려워 찬성을 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여기에 도심공원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의 '무언의 압력'도 동네 선거를 치러야 하는 이들에게는 무시할 수 없는 '압박'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찬성표를 던진 시의원들은 "종합경기장 개발을 둘러싼 첨예한 갈등과 소모적인 논쟁을 끝내기 위해 전주시의 계획에 대부분 동의한 것 같다"며 "전주시가 재원 마련 등 걸림돌을 잘 넘어 (종합경기장을) 시민 모두가 칭찬하는 훌륭한 공간으로 만들기를 기대한다"고 입을 모았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