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7%, 연명치료 중단 법제화 찬성"<한국갤럽>
(서울=연합뉴스) 현혜란 기자 = 국민 10명 가운데 8명 가까이는 가족 동의 아래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에 동의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은 지난달 26∼28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천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77%가 '연명의료 결정 법제화'에 찬성했다고 2일 밝혔다.
지역, 성, 연령, 지지정당, 종교 등 모든 응답자 특성별로 연명의료 결정 법제화에 대한 '찬성'이 70%를 넘었다.
특히 40대 이상 중장년층에서는 연명의료 결정 법제화에 찬성하는 비중이 80%에 달했다.
연명의료 결정 법제화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15%로 집계됐으며, 나머지 8%는 의견을 유보했다.
자신이 회생 불능상태가 되면 어떻게 하겠느냐고 묻자 90%가 '연명치료를 중단하라고 하겠다'는 입장이었다.
4%만이 중단하지 않겠다고 답했으며, 나머지 6%는 의견을 유보했다. 모든 응답자 특성별로 중단을 원한다는 응답이 80%를 넘었다.
연명의료 결정 법제화를 반대한 사람(147명) 가운데 73%는 '본인에 대한 연명치료 중단을 원한다'고 답했다.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의 필요성을 부정하진 않지만, 가족 대리 결정의 부작용 등을 우려해 법제화를 반대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한국갤럽의 설명이다.
부모 또는 배우자가 회생 불능상태가 될 경우에는 63%가 '연명치료를 중단하라고 하겠다'고 답했다. 24%는 중단하지 않겠다고 했으며, 13%는 의견을 유보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 이상에서는 70%가량이 가족의 연명치료를 중단하겠다는 입장이었으나, 20대에서는 중단하겠다는 의견(44%)과 중단하지 않겠다는 의견(38%)과의 차가 크지 않았다.
한국갤럽은 "가족이 받을 고통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 싶은 마음이 앞서지만, 부모나 배우자에 대해서는 회생 불능이라 해도 곁에서 하루만이라도 더 살아 숨쉬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더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으로 이뤄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응답률은 14%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