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세계태권도선수권 개최지, 무주냐 터키 삼순이냐
10일 러시아서 열릴 세계태권도연맹 집행위서 결정
(서울=연합뉴스) 배진남 기자 = 전북 무주냐, 터키 삼순이냐.
2017년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개최지 결정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세계태권도연맹(WTF)은 10일(한국시간) 러시아 첼랴빈스크에서 집행위원회를 열고 2017년에 열릴 제23회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개최지를 결정한다. 2017년 대회 유치전에는 무주와 터키 삼순이 뛰어들었다.
1973년 시작해 2년마다 열리는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는 오랜 전통과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국제대회다.
12일부터 첼랴빈스크에서 열릴 올해 대회에는 136개국에서 875명의 선수가 참가해 남녀 각 8체급에서 총 16개의 금메달을 놓고 기량을 겨룬다.
세계연맹 집행위원회는 조정원 총재를 비롯해 명예부총재 2명, 부총재 4명, 사무총장 1명, 위원 22명, 당연직 위원 4명 등 총 34명으로 구성된다.
2017년 세계대회 개최지를 결정하는 투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조 총재와 후보 도시가 속한 국가의 집행위원(한국 3명, 터키 1명)을 제외하고 29명의 집행위원이 투표권을 갖는다. 세계연맹은 이 가운데 22∼23명이 이번 집행위원회에 참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출석한 집행위원의 과반 득표를 하면 2017년 대회 개최지로 선정된다.
집행위원들의 비밀투표에 앞서 후보 도시는 마지막으로 집행위원들의 표심을 잡기 위한 15분씩의 프레젠테이션을 한다. 영문 국가명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무주가 먼저 프레젠테이션에 나선다.
현재 무주와 삼순은 어느 곳이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주는 7천만 세계 태권도인들의 성지인 태권도원이 자리 잡은 곳이라는 상징성이 있다. 4천500석 규모의 세계 최초 태권도 전용 T1경기장과 1천400명이 머물 수 있는 연수원, 세계 최대 규모의 태권도 박물관 등이 모두 한 자리에 있어 세계대회를 유치하기에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조건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터키의 북쪽 흑해 연안에 있는 삼순의 경쟁력도 만만찮다. 삼순은 오는 9월 18일 제6회 세계장애인태권도선수권대회를 치르고, 카타르 도하가 개최권을 반납한 올해 월드그랑프리 시리즈 2차 대회도 열기로 하는 등 굵직굵직한 태권도 국제대회 개최권을 잇달아 가져갔다.
무주로서는 올해까지 22차례 세계대회를 치르면서 우리나라가 가장 많은 6번이나 대회를 개최한 점은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다. 한국은 2011년 경주 대회를 치른 지 6년 만에 다시 세계대회를 개최하려 한다.
반면 터키에서는 아직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가 열린 적이 없다.
전북도는 지난 3월 세계대회 유치신청서를 세계연맹에 제출하고서 이연택 전 대한체육회장을 위원장으로 한 유치위원회를 꾸려 유치 활동을 해왔다.
송하진 전북도지사와 이연택 위원장은 8일 출국, 첼랴빈스크에서 막판 유치전을 지휘한다. 감종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도 직접 현지로 건너가 유치 활동에 힘을 보탠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