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타임즈=황종택주필 > 중·일 3국 외교장관 회의특히 이번 회의에서 ‘모두 편리한 가장 빠른 시기에’ 3국 정상회의 개최를 위해 노력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음에 따라 정상회의 성사가 이뤄질 경우 3국 협력 복원은 본궤도에 오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번 회의 합의에도 불구하고 3국 정상회의가 곧바로 개최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가 21일 서울에서 3년 만에 개최되면서 그동안 과거사와 영토 문제 갈등으로 사실상 중단됐던 한·중·일 3국 협력의 복원이 탄력을 받게 된 것이다.
한국과 중국, 일본이 협력하는 ‘동북아 신시대’가 도래할 것인가. 작지 않은 희망이 보이고 있다. 한실정이다. 한국은 일본의 과거사 문제, 중국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문제 등을 이유로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관건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을 맞아 4월 말 미 상하원 합동연설과 8월에 발표할 이른바 ‘아베 담화’ 내용일 것이다. 아베 내각이 과거사 문제에 역사 퇴행적인 인식을 보일 경우 한·중·일 3국 정상회의 개최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실제 중국의 왕이(王毅) 외교부장이 이날 3국 외교장관 회의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일본을 겨냥해 ‘역사직시 미래개척’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이번 회의를 통해 조심스런 낙관을 갖게 하고 있음은 큰 성과로 평가된다.
3국 정상회의가 3국 협력 체제의 가장 중요한 기제인데 이것을 개최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는 것 자체가 큰 진전인 것이다. 3국 외교장관 회의가 열린 것은 2012년 4월 이후 처음으로 이번 회의 개최로 3국 협력 복원의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가를 우리 정부도 내놓고 있다.
한·중·일 3국이 협력해야 자국의 이익은 물론 동북아의 안정과 발전도 기대할 수 있다. 한·중·일 3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세계전체의 20%에 육박한다.
한국과 일본에게 중국은 미국을 능가하는 최대교역국이다. 각기 양자 간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이를 동북아 다자간 FTA로 경제공동체를 추구한다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나 유럽연합(EU)에 필적하는 경제블록을 탄생시킬 수도 있다.
3국의 경제통합은 그야말로 긴 장정(長程)이다. 문화, 환경, 청소년 교류 등 쉬운 것부터 추진해야 한다. 3국 정상회의는 협력의 첫출발일 것이다.
그 바로미터가 바로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반성임은 두 말할 나위 없다. 미래 지향적 한·중·일 3국 관계로의 발전을 위해 서로 힘써야겠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