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타임즈 황종택주필] 세계조류를 거스르는 일본의 역주행이 계속되고 있다. 과거사에 대한 일본 정계 인사들의 망언·망동이 끝 간 데를 모르고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한 술 더 떠 이번엔 일본이 조선인 강제징용자들의 한이 서린 현장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에 희생된 바 있는 한국과 중국 등 세계인의 공분을 사고 있다.
일본 정부는 한반도 강점기 때 한국인을 강제로 끌고 가 노역시킨 나가사키(長崎) 조선소와 하시마(端島) 탄광 등 규슈(九州) 지역과 야마구치(山口)현의 28개 시설·유적에 대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이른바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지는 6월28일부터 7월8일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정부 간 위원회인 세계유산위원회는 우리나라와 일본을 포함해 21개국이 현재 위원국이다. 등재 여부는 참석 위원국의 3분의 2의 득표로 결정된다. 세계유산위원회의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족협의회(ICOMOS)는 각국이 신청한 6개의 세계유산자격기준 중 1개만 충족해도 등재 자격이 있는 것으로 세계유산위원회에 권고를 한다.
일본 측이 내세우는 명분은 나가사키 조선소의 경우 동양 최초로 세워진 대형 조선소이며 다른 탄광이나 제철소 등도 일본 근대화의 기초를 닦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돼야 할 현저한 보편적 가치가 있어야 등재된다. 일본 군국주의가 반인도적 강제징용을 통해 전쟁물자를 생산하던 전쟁범죄 현장은 원천적으로 자격이 없다.
일제 침략의 역사는 하나도 빠짐없이 낱낱이 기록되어 후세에 교훈으로 전해져야 한다. 그곳에서 한국인 징용노동자들이 피와 땀을 흘리다 억울하게 죽어갔다는 사실 또한 정확히 기록돼야 마땅하다. 그러나 지금 일본 정부가 뜻하는 대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 침략의 흔적은 감춰지게 된다. 일본은 독일의 참회 사례를 본받아야 한다.
독일은 그 수치스러운 현장을 진정한 사죄의 가슴으로 협력하고 있다. 가스실 내 유대인 대학살 현장인 폴란드 아우슈비츠뿐만 아니라 독일 뮌헨 근처의 다카우 수용소, 생체실험을 자행했던 베를린 근처의 작센하우스, 베를린 한복판의 나치 홀러코스트 기념관 등 독일 전역에 역사의 현장을 보존하고 있잖은가.
우리 정부의 역할이 증대돼야겠다. 조선인 강제징용자들의 한이 서린 현장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지 않도록 외교력을 집중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