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11일 "국제사회 전체의 대북 제재 이행의지는 쉽사리 악화될 것으로 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을 통해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반대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언론성명 채택이 불발되면서 안보리의 '무대응'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안보리 결의 채택 이후에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압박에 대한 적극적·전방위적 동참을 통해서 국제사회 내 북한의 구도가 어느 정도 정착된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대변인은 이어 "앞으로 안보리 차원에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예단하기 어렵다"면서도 "모든 이사국들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 그 자체에 대해서는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인정했다"고 강조했다.
또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는 어떠한 이견도 없다"며 "정부로서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의 철저한 이행을 위해 이사국들을 포함한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을 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지난 6월 황교안 국무총리의 중국 방문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사드배치 이후 조치에 대해 한국이 책임져야 된다'고 밝혔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선 "외교 관행상 구체적인 언급을 자제코자 하나,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조 대변인은 "황교안 총리 방중 후에 설명한 바 있듯이 한중 양측은 사드와 관련해서 기존 입장에 따라 일반적인 차원에서 의견을 교환한 바 있다"고 말했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 (Photo by Andrew Burton/Getty Images)2016.03.17 ⓒ게티이미지/이매진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