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진 외교부 차관보, 7월초 브렉시트 유관국 방문
국립외교원, 브렉시트 관련 강연회 및 세미나 연쇄 개최
![]() |
△ 외교부.jpg |
(서울=포커스뉴스) 외교부가 영국의 유럽연합탈퇴(브렉시트)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잰걸음에 나섰다.
윤병세 외교장관은 27일 외교부 국장급 이상 간부들과 함께 브렉시트 결정에 따른 파급영향에 대해 심층 논의했다.
28일 저녁 임성남 제1차관은 영국측 요청에 따라 휴고 스와이어(Hugo Swire) 영국 외교부 국무상과 통화한다. 29일에는 게하르트 사바틸(Gerhard Sabathil) 주한 EU대사와 면담할 계획이다.
7월초에는 김형진 외교부 차관보가 유럽지역 출장 계기에 유관국을 방문해 대책을 논의한다.
7월1일에는 국립외교원이 주한 EU대사, 찰스 헤이 (Charles Hay) 주한영국대사 참석 하에 브렉시트 관련 공개 강연회를 개최한다. 7월5일에도 국내 전문가들을 초청해 브렉시트의 정책적 함의를 다각도로 점검하는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28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영국의 EU 탈퇴 결정이 우리와의 양자 관계는 물론, 지역·글로벌 차원에서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예의 주시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조준혁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영국 국민들의 결정을 존중한다"면서 "영국이 EU에 탈퇴를 공식 통보한 이후에도 EU와의 탈퇴 협상에 약 2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이 기간동안 영국과 EU간 협상 동향 등을 봐가면서 정치·경제 등 제 분야의 단기 및 중·장기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대처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준혁 대변인은 "정부는 한·영간 '포괄적·창조적 동반자 관계'와 한·EU간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기초해, 정치·경제 등 각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지속 발전시켜오고 있다"고 환기시켰다.
이어 "특히 우리나라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면서, 지역·글로벌 사안에서 유사한 입장을 가진 영국 및 EU와는 북한 핵 및 인권 문제와 관련하여서도 긴밀한 공조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