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기초 과학 연구 지원 확대 기대
"내년 말 외부 기능 실험…2020년 전까지 완성될 것
(서울=포커스뉴스) 미 크리스찬사이언스모니터 등 외신이 22일(현지시간) 한 일본 스타트업이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 개회식에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인공 유성우'를 개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스타트업 '스타에일(Star-ALE)'은 천문학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인공 유성우 쇼를 위해 '스카이 캔버스 프로젝트(Sky Canvas Project)'를 진행하고 있다.
인공적으로 유성우를 제작하려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다. 유성은 별들이 지구 대기를 통과해 낙하하는 과정에서 가열, 연소되는 것으로 이 과정을 통해 지상에서 관측할 수 있다. 매년 8월쯤 나타나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군 같은 경우는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다.
스타에일은 기본적으로 인공 강우를 일으키는 것과 같은 원리를 이용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유성의 재료인 근본 입자 수백 개를 채워 넣은 위성에 의해 유성들은 약 40~50마일의 높이로 발사된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성보다 더 오래 지속된다.
이들은 인공 유성 입자는 지구에서 관찰할 수 있는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보다 약간 어두울 것이며 비교적 밤하늘이 맑은 날에는 도시에서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유성우 입자를 열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해 실제 유성우처럼 대기층을 통과할 때 여러 가지 색상 팔레트가 나타나게 된다.
이 프로젝트에는 엄청난 비용이 든다. 위성을 건설하고 발사하는데 드는 금액과 동시에, 유성 입자 하나를 만드는데 각기 8100달러(약 957만 원)가 쓰일 예정이다.
하지만 스타에일의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인 오카지마 레나는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일본 천문학 등 과학자들을 위한 추가 연구 개발로 이어질 거라고 기대한다.
그는 스타에일 기업 프로필에서 "이 프로젝트는 천문학과 엔터테인먼트를 혼합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유형"이라며 "과학을 통해 태어난 유성들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도 높은 수익을 줄 것이고 이는 추가로 일본 기초 과학 연구를 부양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일본 천문학은 정부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다. 천문장비 개발에 많은 공적 자금이 쓰이는 덕분에 우리는 우주를 더 비행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한 실험과 관찰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도쿄도립대학 사하라 히로노리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미국 과학 매체 PHYS.org와의 대담에서 "스타에일의 프로젝트는 일본 연구자들에게 엔터테인먼트와 과학 실험 혼합의 선례를 보여줄 뿐 아니라 환경 변화와 유성 구조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스타에일은 내년 말부터 실험실 외부 기능 테스트를 시작할 예정이며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 전까지 완성할 거라고 밝혔다.일본 스타트업 '스타에일(Star-ALE)'이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 개회식에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인공 유성우'를 개발하고 있다. 사진은 스타에일의 홍보 영상 중 인공유성우 시뮬레이션 부분. <사진출처=Star-ALE>'스카이 캔버스 프로젝트'에서 유성 입자들은 인공위성을 타고 우주에 쏘아올려질 예정이다. <사진출처=Star-ALE>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