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외교부.jpg |
(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9일 '중국이 미국에 북한의 핵 동결과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를 조건으로 북·미 평화 협정 체결 관련 의사를 타진했다'는 일부 보도를 "사실무근"이라면서 부인했다.
외교부 당국자는이날 오후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이같이 밝힌 뒤 "한·미는 북한과의 어떠한 대화에 있어서도 비핵화가 최우선이 돼야 한다는 확고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한·중간에도 북핵문제와 관련해 긴밀히 협의 및 소통을 해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북한은 스스로를 '책임있는 핵보유국' '세계적 핵강국'이라 부르며 비핵화 의지를 보이기는커녕 병진노선 고수 및 핵개발 지속 의지를 노골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북한은 위협과 도발을 즉각 중단하고 우선 진정한 비핵화 의지를 행동으로 보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북한이 병행협상을 포함한 모든 비핵화 관련 대화를 공개적으로 거부했다"고 재차 밝혔다.
이 당국자에 따르면 북한 외무성은 4월12일 대변인 문답을 통해 "일부에서 그 무슨 6자회담이니, (중국의) 비핵화와 평화협정체결의 병행추진이니 하는 소리들이 있는데 지금의 정세가 도저히 대화에 대해 생각할 분위기가 못 된다는 것은 명명백백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북한이 모든 비핵화 대화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중국이 북한의 핵 동결과 NPT 복귀를 조건으로 미국에 북·미 평화협정 의사를 타진했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게 된다.외교부가 9일 '중국이 미국에 북미 평화협정 타진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면서 부인했다. 사진=포커스뉴스DB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