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22.jpg |
(서울=포커스뉴스) "초심을 잃지 않도록 열심히 하겠다."
JTBC 간판 예능 프로그램 '비정상회담'이 오는 30일 100회를 맞는다. '비정상회담'은 2014년 7월 7일 첫 방송 됐다. 각국을 대표하는 외국인이 모여 한국말로 토론하는 모습으로 인기를 끌며 화제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1회 때부터 '비정상회담'을 이끌어온 세 MC 유세윤, 성시경, 전현무의 감회는 남달랐다. 유세윤은 3일 서울 상암 JTBC에서 열린 JTBC '비정상회담' 100회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10회도 감사하다는 마음으로 자축했는데 100회가 됐다. 소중하고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성시경 역시 "쉬우면서도 어려운 프로그램이었던 것 같다. 더 신기하고 감사한 마음이다"고 회상했다. 전현무는 "'미녀들의 수다' 짝퉁이 아니냐고 했던 내 입이 부끄러울 정도다. 자부심을 느끼고 더 열심히 하겠다"고 밝혔다.
연출의 김희정 PD는 100회를 맞이할 수 있었던 공을 시청자에게 돌렸다. 김 PD는 "10회를 맞이해 떡 케이크를 가지고 자축했던 적이 있다. 지금은 10배의 시간이 흘러서 100회가 됐다. 많은 시청자가 꾸준한 사랑과 관심을 가져주셔서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앞서 '비정상회담'은 각종 논란에 휩싸이며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최근에는 프로그램이 밋밋해지고 초심을 잃었다는 시청자의 지적들이 이어지고 있다. 초반부터 함께 했던 샘 오취리나, 장위안 등 개성 넘쳤던 외국인 패널들이 지나치게 한국 사람처럼 변한게 이유였다.
MC 성시경 역시 이와 같은 비난들에 대해 인정했다. 성시경은 "예전에 우리 프로그램이 좋았던 건 비정상들의 말에 깜짝 놀라는 우리의 모습이었다. '이력서에 체중을 왜 적냐', '사진을 왜 붙이냐'는 말들을 통해 이게 차별이 될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아주 부드러워진 것 같다"고 말했다.
전현무는 예능이기 때문에 한국적인 예능 요소를 보이는 건 나쁘지 않다는 생각을 밝혔다. 그는 "다들 녹화 전에 공부를 엄청 하고 온다. 본인 나라 사이트에 들어가서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공부한다. 너무 예능만 하는 것 아니야 싶을 수 있겠지만, 정체성을 무너뜨릴 정도는 아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도 초심을 잃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전현무는 "'비정상회담'만의 매력이 있다. 다른 곳에선 섭외가 안 되는데 여기서만 섭외가 되는 게스트가 있다. 정우성 씨나 윤여정 선생님 같은 경우가 그렇다"며 "그런 점에서 독보적 예능이 맞는 것 같다. 시사와 예능의 결합이라는 의미 있는 시도가 인정받은 것 같아서 자부심이 있다. 초심 잃지 않게 나도 노력할 거고 한국화된 패널들도 교육을 하며 초심 잃지 않게 하겠다"고 다짐했다.유세윤, 성시경, 전현무(좌측부터)가 3일 서울 상암 JTBC에서 열린 JTBC '비정상회담' 100회 기념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사진제공=jtbc>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