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진 "나이 들수록 해당 효소 활동성 줄어"
세포가 노화에 끼치는 영향, 이해 한걸음 진척
(서울=포커스뉴스) 주름, 착색 등 피부 노화 고민 해결의 돌파구가 될 만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 데일리메일 등 외신은 영국 뉴캐슬대 연구팀이 피부 노화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효소를 발견했다고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에 따르면 이는 미토콘드리아에서 발견한 '미토콘드리아 콤플렉스 Ⅱ'라는 이름의 효소로 피부 결, 피부 탄력 및 재생 등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미토콘드리아 콤플렉스 Ⅱ는 나이가 들수록 활동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텔레그래프는 이제 어떤 효소가 '젊은 피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게 된 만큼 과학자들이 이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안티에이징 기술이나 효소 활성화를 돕는 화장품을 개발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데일리메일은 연구를 진행한 영국 뉴캐슬대 피부과 마크 버치-머킨 교수가 "우리의 연구는 처음으로 나이 든 사람일수록 피부 세포 생명력에 관여하는 주 효소의 활동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버치-머킨 교수는 "나이를 먹으면 세포 에너지가 떨어지고 해로운 활성산소가 늘어난다"며 "이러한 노화는 피부에 잔주름이 늘거나 피부 꺼짐 현상 등으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우리는 특정한 효소를 타겟으로 한 안티에이징 기술을 발전시키고 노화 방지 크림 등을 개발할 수 있다"면서 "연령대마다 적합한 안티에이징 기술은 물론, 피부 외 다른 부분에서의 노화에 대해 연구할 수도 있다"고 연구 성과를 강조했다.
보도에 따르면 연구팀은 미토콘드리아 콤플렉스 Ⅱ 효소를 연구하기 위해 6살부터 72살까지 다양한 나이의 사람들 27명으로부터 해당 효소 표본을 채취했다.
연구진들은 연령대에 따라 효소의 활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했다. 그 결과, 나이가 든 제공자에게 받은 효소일수록 활동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해당 연구의 공동 저자인 에이미 보우만 박사는 "그동안 미토콘드리아가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널리 받아들여져 왔지만 정확하게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의 연구는 바이탈 세포 구조 등이 사람의 노화에 끼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피부연구학회지(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에 게재됐다.주름, 착색 등 피부 노화 고민 해결의 돌파구가 될 만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피부 노화의 증거를 완전히 없앨 새로운 안티에이징 기술이 개발될 전망이다. ⓒ게티이미지/멀티비츠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