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외교부_윤병세_장관_2.jpg |
(서울=포커스뉴스) 윤병세 외교장관이 5일 오전에 미국, 일본, 호주, 유럽연합(EU) 주한대사와 대북 제재 강화 방안을 협의했다.
외교부는 이날 오후 보도자료를 통해 "윤 장관은 참석 대사들과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 노력 및 한·미·일·호·EU 차원의 독자적 대북 제재 조치 강화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협의했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오전 10시부터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벳쇼 고로 주한 일본대사, 윌리엄 패터슨 주한 호주대사, 게하르트 사바틸 주한 EU대표부대사를 서울 세종로 외교부에서 함께 만났다.
현재 미국은 상원에서 독자적인 대북제재 법안이 통과될 예정이며 일본 또한 아베 총리의 지시로 외무성에서 독자적 제재 강화 방안을 강구 중이다. 호주는 비숍 외교장관 명의의 1월 6일 성명을 통해 북한의 WMD 제재 강화 및 국제 비확산 협력 강화 의지를 천명했다. EU는 1얼 21일 의회 대북결의안을 통해 국제사회의 의미 있고 유효한 제재 지지 및 EU 외교안보 고위대표가 EU 대북전략 작성에 있어 한국의 전문적 역량을 활용토록 명시했다.
윤 장관과 참석 대사들은 "북한의 병진노선이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유엔 안보리와 별도로 각국 차원에서 과거 어느 때보다 강력한 추가 제재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의지를 공유하고 "이러한 의지를 빈틈없이 철저히 이행해 나가는 데 긴밀히 협조해 나가기"로 했다.
각국의 독자적인 추가 제재 조치와 관련해 윤 장관과 참석 대사들은 “북한에 대한 실효적 제재가 될 수 있는 대량살상무기(WMD) 관련 분야를 포함한 모든 분야를 총 점검 및 보완해, 다차원적이고 중층적인 제재 조치를 강구해 나가자”고 합의했다.
또한 이를 통해 유엔 안보리의 권능과 국제사회의 경고를 무시한 일련의 도발에 대해, 북한이 반드시 대가를 치르도록 철저히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
윤 장관은 오는 12일~14일 뮌헨 안보회의 참석 등을 계기로 이러한 노력을 계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외교부는 밝혔다.윤병세 외교장관이 5일 오전에 미국, 일본, 호주, 유럽연합(EU) 주한대사와 대북 제재 강화 방안을 협의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