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6010600102801541_1 |
(서울=포커스뉴스) 청와대는 박근혜 대통령의 '부정부패 척결' 강조가 '고강도 사정'으로 해석되자 "부패요인을 선제적으로 감시하고 시스템을 갖춘다는 말 그대로 받아들여 달라"고 밝혔다.
정연국 대변인은 6일 오전 춘추관 정례브리핑에서 "국민 세금이 잘못 쓰이는 부분을 중심으로 시스템 갖춰서 예산낭비 줄이고 비리 소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의미"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5일 새해 첫 국무회의에서 "과거의 적폐가 경제활력의 걸림돌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면서 부정부패 척결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부패요인을 선제적으로 감시, 경고하는 인프라를 구축해 예산낭비와 비리 소지를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대형 국책사업을 비롯해 정책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여나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의 발언이 알려지면서 집권 후반기 권력누수를 막기 위한 고강도 사정 드라이브를 거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잇따랐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부패척결 발언의 핵심은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결국 예산이 쓰이는 정책들, 사업들의 낭비 요인을 줄여 세금을 아끼자는 것"이라며 '사정'으로 확대 해석되는 것에 선을 그었다.청와대는 6일 박근혜 대통령의 '부정부패 척결' 강조가 '고강도 사정 드라이브'로 해석되자 "부패요인을 선제적으로 감시하고 시스템을 갖춘다는 말 그대로 받아들여 달라"고 밝혔다. 사진=강진형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5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2016년 제1회 국무회의에 앞서 국무위원들과 환담하고 있다. 2016.01.05. <사진출처=청와대>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