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정부가 '성노예' 표현 자제 방침 시사 가능성 있어"
![]() |
△ 쓸쓸한 소녀상, 한일 외교장관 협상 열리는 날 |
(서울=포커스뉴스) '위안부 협의'가 타결된 28일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일본이 한국 측에 '성노예'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말아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교도통신은 29일 한국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 향후 '성노예'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날 교도통신은 전날 서울에서 열린 윤병세 외교부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의 회담에서 일본이 한국 측에 더 이상 '성노예'란 표현을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고 세코 히로시게 관방 부장관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또 이와 관련해 "한국 측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유일한 공식 호칭이라고 답변했다"며 "한국 정부가 향후 '성노예' 표현을 자제할 방침을 시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1996년 당시 스리랑카의 쿠마라스와미 특별보고관이 유엔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위안부를 '성노예'로 표현해 일본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권고했다"며 "한국 정부와 단체들도 ('성노예'라는 표현이) 위안부의 실태를 보다 정확하게 전하는 말이라고 주장해 왔다"고 덧붙였다.'위안부 협의'가 타결된 28일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일본이 한국 측에 '성노예'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말아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후 서울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에 노란 목도리가 둘러져 있다. 2015.12.29 김흥구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